유럽銀 건전성 해결 전까지 없이 금리상승 어렵다
유럽銀 건전성 해결 전까지 없이 금리상승 어렵다
  • 이지은 기자
  • 승인 2012.06.05
  • 호수 89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6월 채권 전략

유로존의 불확실성이 고조되고 있는 가운데, 금융당국의 정책스탠스 유지로 국내 채권금리의 하락 폭은 비교적 작았다. 뚜렷한 정책 변화가 없다면 채권금리의 하락은 일시적일 현상에 그칠 전망이다.

박형민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금융시장이 불안함을 보였으나 금융위기 당시와 같은 자금경색은 없었다”며 “외화유동성 위기에 따른 디레버리징 발생-실물경제 위축으로 이어지는 변화의 조짐은 아직 나타나지 않고 있어 통화정책 스탠스는 유지될 전망”이라고 진단했다.

채권시장은 유럽 정치상황에 영향을 받으며 좁은 등락을 이어갈 것으로 예상된다. 그리스 총선 결과가 시장의 변곡점을 형성할 가능성이 제기되고 있지만, 궁극적인 변화는 유럽은행의 자본확충이 마무리된 이후가 될 전망이다.

박 연구원은 “시장의 변화를 보려면 유럽은행의 자본확충이 완료돼야 하나 6월말로 예정된 기한이 연기될 가능성도 존재한다. 그리스 총선이 원만하게 마무리된 이후 채권금리는 상승하겠으나 은행 건전성 문제가 해결되기 전까지 의미 있는 변화를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내다봤다. 6월 국고채 3년물 금리는 3.33%~3.55% 내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했다.

지난달 프랑스의 정권교체와 그리스 연정 실패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라는 불확실성이 증폭되면서 글로벌 채권시장은 강세를 지속했다. 미국채 금리 10년물 수익률은 1.7% 초반까지 하락했다.

그러나 그리스리스크, 스페인은행의 뱅크런 가능성 등 대외 불확실성이 부각된 데 비해 국내 채권금리는 제한적인 하락에 그쳤다. 5월 금통위에서 기존의 ‘금리 정상화’ 의지를 표명하며 통화정책 스탠스를 고수했기 때문. 나아가 6월 금통위에서도 큰 변화가 나타나지 않을 것이라는 기대감이 커지면서 국고채 3년물이 3.3% 후반 대에서 등락을 이어가는 지루한 시장흐름을 보였다.

향후 한국은행의 정책 변화를 가져올 핵심 변수로는 역시 그리스의 유로존 탈퇴 이슈를 꼽을 수 있다. 유로존 정치 문제가 유로화 가치와 은행시스템의 위기로 이어질 경우, 정책 스탠스의 급격한 변화로 이어질 공산이 높다.

정경희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그리스의 유로존 무단이탈은 인접 국가들로 확산될 개연성이 높고, 이는 유로화의 가치를 훼손시키는 동시에 유럽 은행시스템을 붕괴, 나아가 실물경제의 침체를 가져올 것”이라며 “결국 유로존이 그리스를 잔류시킬지 혹은 그리스 탈퇴 시 강력한 방어벽 준비가 가능한지가 핵심적인 변수”라고 판단했다.

유로존 회원국들은 은행 자본확충이 끝나기 전에 그리스가 탈퇴할 경우 은행시스템에 미칠 수 있는 파장을 우려, 그리스의 잔류를 바라고 있다.

엄청난 규모의 자금을 역내는 물론 역외에서 조달하고 있는 유로존 은행들의 입장에서, 은행위기는 자금조달이 어려워진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는 곧 보유자산의 매각으로 이어져, 디레버리징이 시작되고 실물경제의 침체와 연결된다.

정 연구원은 “실물경제를 떠받드는 은행 그리고 유로존 내에서 그물처럼 얽혀 있는 은행위기는 상상할 수도 없는 결과를 초래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현재 유로존이 가장 공포심을 느끼는 시나리오 전개는 유로화의 폭락과 뱅크런이라고 지목했다.

그리스와 스페인의 은행들은 각각 채무불이행 위험, 주택시장의 침체 등에 따라 실질적으로 파산 위험이 증가했다. 그리스 은행 예금인출 사태와 맞물려 스페인 은행의 뱅크런 가능성이 부상하고 있다.

그러나 실제로 뱅크런이 확산될 가능성은 낮다는 분석이다. 그리스와 스페인의 뱅크런은 선행관계일 뿐, 인과관계는 아니라는 것.

박 연구원은 “장기대출프로그램(LTRO)으로 유동성을 은행들에게 공급해주고 있는 유럽중앙은행(ECB)이, 위기 발생 시 장기대출을 지금보다 더욱 더 증가시킬 가능성은 충분히 있다”며 “뱅크런이 유럽 전역으로 확산 될 가능성은 극히 낮다”고 판단했다.

자산 부실화의 문제는 해당 은행이 보유한 자산상태의 문제에 불과하며, 예금을 맡긴 은행보다 안전한 은행이 있는 이상 은행들의 연속적인 예금인출 사태는 발생하기 어렵다는 설명이다.

오히려 유럽의 은행시스템을 위협하는 요인은 불완전한 재정통합에 따른 유로화 가치의 폭락이라고 지목했다.

박 연구원은 “그리스의 이탈이 현재 가장 불안한 이유는 유로화 가치에 영향을 미칠 수 있기 때문”이라며 “연쇄적인 이탈로 재정과 금융이 함께 붕괴해 버리는 상황을 상상할 수도 있다”고 밝혔다.

회원국들의 유로존 탈퇴가 잇따라 발생하면, 화폐가치의 하락이 나타나게 되고, 정부가 더 이상 유로화로 채권을 발행하지 않는 동시에 은행은 정부가 발행한 채권에 투자하려 하지 않을 수도 있다는 예상이다.

결국 유로존을 통해 가장 큰 경제적 이득을 얻고 있는 독일의 주도로 유로존 위기 해소를 위한 단기 처방이 내려질 가능성에 무게가 실린다.

박 연구원은 “궁극적으로 재정통합을 통한 유로존의 존립은 가능성이 희박하고 붕괴 시나리오는 독일의 경제적 손실이 너무나 크다. 현재 가능한 답은 유로존 재정위기를 일시적이라도 해결할 수 있는 답안이 나오는 것”이라고 판단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