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충 특파원의 일본증시]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ㆍFOMC금리인상 속도조절 기대 '상승 전망'
[윤충 특파원의 일본증시] 미국 인플레이션 둔화ㆍFOMC금리인상 속도조절 기대 '상승 전망'
  • 윤충 편집위원
  • 승인 2022.08.1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증시는 급등 마감했다. 미국의 인플레이션 둔화에 영향을 받았다. 10일(현시기간) 노동부가 발표한 미국 7월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전월보다 0.5% 하락했다. 월간 상승률이 마이너스로 돌아선 것은 2020년 4월 이후 처음. 전년 동월 대비로는 9.8% 상승한 것으로 집계됐다. 지난해 10월 이후 가장 낮은 상승률이다.

11일 일본 도쿄증시 닛케이225지수는 전장 대비 2.62% 급등한 2만8546.98에 거래를 마감했다. 전일(10일) 기시다 후미오(岸田文雄) 총리가 각료 명단을 발표했지만 시장 반응은  제한적이었고 증시는 하락했다.

일본 증시가  미국의 PPI에 반응하는 것은 인플레이션 둔화되면 미국 연방 준비 제도 이사회(FRB)의 금리 인상 도 후퇴할 것이라는 기대 때문이다. 

이번주 국내 외의 경제 지표와 미국 연방 공개 시장 위원회(FOMC) 의사 요지(7월 개최)등이 확인되면 증시의 방향감을 찾게 될 것 같다.

◆주가 완만 상승

일본 증시는 완만한 상승이 예상된다. 미국의 인플레이션과 금리 인상에 대한 경계가 완화된 것이 증시에 영향을 미칠 전망이다. 미국 주식에 비해 할인된 일본 주식에 대한 매수세가 이어질 것으로 보인다. 다만 미국의 인플레이션은 여전히 ​​높다는 점과  금리 인상은 여전히 ​​불투명하다는 점이 발목을 잡는 모양새를 연출할 것으로 보인다.  세계 경기의 감속 우려도 지불할 수 없는 상황이다. 

◆장기금리 불안한 행보

미국 소비자물가지수(CPI), 생산자물가지수(PPI)가 인플레이션 감속을 보이고 있다.  미국의 금리 인상 가속 관측이 후퇴하는 있다. 일본의 장기 금리는 일시 0.20%까지 상승했다.  장기 금리의 한 단계 상승은 제한적일 수 있다. 5년, 20년 국채 입찰도 확인하면서 계속 거소를 찾게 될 것 같다.

◆환율 방향감 결정 미흡

엔저 현상은 이어질 전망이다. 인플레이션율은 여전히 ​​고수준이다.  FRB는 인플레이션 경계 자세를 이어갈 것으로 전망된다. 미일 금융정책의 방향성의 차이는 계속된다. 달러엔은 방향성을 잃고 현상을 유지할 것으로 전망된다.

◆J리트 바닥 단단한 움직임

REIT 지수는 미국 장기 금리가 상승하면서 J리트 수익율이 하락했다.  2,000포인트에서 단단히 추이를 보이고 있다. 7월의 도쿄 도심의 오피스 공실률이 2개월 만에 저하했다. 임대료의 하락이 둔화됐다. 임대료가 조금씩 오르고 있는 것이 안심 재료이다. 장기 금리의 침착 등을 확인하면서 투자 대상을 찾아갈 전망이다.

■ 메모

8월 15일(월)  GDP 통계(22/4-6월기)

4-6월기 국내총생산(GDP) 전기비 연률로 3% 전후의 플러스 성장이 예상된다. 감염자 수가 일단 감소해 개인소비가 늘어나고 있다. 수출의 성장 등을 배경으로 설비투자가 전기비 증가하고 있다. 다만 감염이 다시 급확대하고 있는 것과 부품 부족난이 해소되지 않은 것이 후반기 경기 확대는 느리게 하는 요인이 될 전망이다.

지난  1-3월기에 국내총생산(GDP)은 전기비 0.1% 감소(연률 0.5% 감소)했다. 소폭이지만 마이너스 성장했다.  코로나바이러스의 감염 확대 등을 배경으로 개인소비가 늘어난 것 외에 부품 부족이나 자원고 등을 받고 설비투자가 전기비 감소가 되어 GDP를 밀어 내렸다.

8월 16일(화) 미광 공업 생산(7월)

미광공업 생산지수가 7월은 전월 대비 0.3% 정도의 상승하고 설비 가동률은 80.1% 정도를 상승이 예상된다. 전월에 비해 건설자재나 자동차 등의 생산이 감소하고, 석유, 가스 드릴링은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 향후 미경기 감속 우려를 배경으로 광공업 생산은 약간 저조될 수 있다.

6월의 미광공업 생산지수는 전월 대비 0.2%의 하락(전년 대비 4.2%의 상승)이 되어 시장 예상을 밑돌면서 올해 첫 하락이 되었다. 재고가 쌓여 미국 경기 감속 우려가 영향을 준 것으로 보인다. 또한 설비 가동률은 80.0%로 전월부터 약간 하락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