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ㆍ국민에 빚 없다" 최정우, 박태준 그늘 벗기...정치권 외풍 사전 차단 나섰다
"국가ㆍ국민에 빚 없다" 최정우, 박태준 그늘 벗기...정치권 외풍 사전 차단 나섰다
  • 조경호
  • 승인 2022.04.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 직원에 배달된 '포스코 정체성' 메일...국가와 국민 외면
국민연금 대주주 지만 외국인 주주 51.3%...민영화 기업 강조
정권 초기 외풍에 날라간 회장...독해진 崔 정치권 외풍 버틸까

"국가와 국민에 더 이상 빚 없다."

최정우 회장의 경영체제가 이상하다. '국민기업'이미지 벗기에 나섰다. 포스코는 일제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대일청구금 자금으로 설립됐다. ‘청구권 자금’이란 1965년 한일협정 타결 이후 66년부터 10년 동안 유·무상의 형태로 제공받은 돈을 의미한다. 최 회장이 "국가와 국민에 더 이상 빚 없다."며 이를 부정하고 나섰다. 

매일신문은 지난 11일 <[단독] 포스코 "국가와 국민에 더이상 빚없다…완전한 민간기업에 입대지 말라>제하 기사를 통해 포스코홀딩스 경영전략실이 '포스코그룹 정체성'제목 글을 통해 국민기업 프레임 벗기에 나섰다.

6일 포스코 측은 '포스코그룹 정체성'이라는 제목의 글을 6일 전 직원들에게 보내며 '국민기업'이미지를 벗어던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매일신문 캡처
6일 포스코 측은 '포스코그룹 정체성'이라는 제목의 글을 6일 전 직원들에게 보내며 '국민기업'이미지를 벗어던져야 한다고 주장했다. @매일신문 캡처

포스코홀딩스 경영전략실은 지난 4월 6일 오후 4시 34분에 '포스코그룹 정체성'제목 글을 통해 "임직원 여러분. 포스코는 2000년 10월 4일. 산업은행이 마지막으로 보유하고 있던 2.4%의 지분을 매각함으로써 완전한 민간기업이 됐다"고 했다.

이어 "민영화가 완료된 지 20년 이상이 경과되었음에도, 여전히 국민기업이라는 애매모호한 개념으로 회사의 정체성을 왜곡하고, 다른 민간기업 대비 과도한 책임과 부담을 요구하는 경우가 있다"고 했다.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에 따르면, 포스코홀딩스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9.25%)이다. 소액주주의 지분이 66.04%이다. 이 중 51.3%가 외국인 주주이다. 

포스코홀딩스는 외국인 주주가 51.3%이라는 점을 들어 국민기업이라는 프레임은 현실에 맞지 않다고 강조했다. 이는 포스코의 미래발전을 위해 극복해야 할 프레임이라고 지적했다.

포스코홀딩스는 과거 민영화된 사례를 들면서 포스코만 국민기업 프레임에 사로잡혀 있다고 지적했다. 

공기업 대한석유공사(SK이노베이션), 한국중공업(두산중공업) 등은 민간 기업에 매각됐다.  정치적 외풍이 없다. 포스코는 매 정권때 마다 외풍에 시달렸다. 민영화 이후에도 압도적인 의사결정을 내릴 수 있는 대주주가 없어 전문경영인의 임기제로 현재까지 운영하고 있다. 철강제품 생산을 주력으로 하는 기업으로 자동차, 조선, 전자, 기계, 건설 등 주요 산업에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으로 분류돼 있다.  정부 영향을 받을 수밖에 없다.

고 박태준 회장이 고 박정희 대통령과 함께 포스코 공장을 시찰함. @자료사진
고 박태준 회장이 고 박정희 대통령과 함께 포스코 공장을 시찰함. @자료사진

민영화 이후 포스코 회장 중 임기를 모두 채운 이는 단 한 명도 없었다. 연임 이후 정권 교체기와 맞물리면서 퇴임한 경우가 태반이다. 자진사퇴 이유는 다양하지만 업계는 사실상 정권 입김이 작용했다고 보고 있다. 5월 차기 정부가 들어선다. 최 회장의 거취도 불투명한 상황이다. 재계 일각에서는 정치권 외풍 차단을 위한 선제 작업이라는 지적이다.

최 회장은 연임에 성공했다. 지주사 출품으로 순풍을 이어가던 최 회장의 위기 관리 능력이 본격 시험대에 올랐다는 이야기가 나온다.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경영이 화두인 가운데 포스코홀딩스가 국가기간산업에 본연에 책무를 외면하고 "국가와 국민에 더 이상 빚이 없다"
면서 국가와 국민까지 갈라치기 하면서 포스코의 미래를 어둡게 하고 있다.

김선제 성결대학교 경제학과 교수는“포스코는 민간기업이다.자동차, 조선, 전자, 기계, 건설 등 주요 산업에 기초소재를 공급하는 국가기간산업으로서의 특성도 고려돼야 한다”며 “정치권의 외풍은 바람직하지 않다. 하지만 국가기간산업 육성을 위해 일제강점기 강제징용 피해자들의 대일청구금 자금으로 설립됐다는 점을 잊어선 안된다. 국가와 국민에게 빚이 없다고 갈라치기하는 것은 포스코의 미래를 위해서도 바람직하지 않다. 기업은 사회적 책임을 져야 한다. 그게 ESG경영에 시작인 것이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