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간 소개]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가야 여행
[신간 소개] 일상이 고고학, 나 혼자 가야 여행
  • 박종무 기자
  • 승인 2021.05.04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전설을 통해 역사적 사실을 도출하는 새로운 방식이 시도된 최초의 대중 역사서
광개토대왕릉비문으로 ‘임나일본부설’을 촉발해 일본의 역사 왜곡의 빌미가 되기도 한 가야
현장을 찾아가 하나하나 확인하는 고고학적 재미와 쾌감

이 책은 자신의 기록을 남기지 못하여 연구에 한계가 있을 수밖에 없었던 고대국가 ‘가야’를 ‘수로왕 전설’인 난생설화를 통하여 역으로 추적하여 그 속에 숨어 있는 진짜 역사를 하나하나 찾아가는 역사 에세이이다.

ⓒ 책읽는고양이
ⓒ 책읽는고양이

 

광개토대왕릉비문으로 ‘임나일본부설’을 촉발해 일본의 역사 왜곡의 빌미가 되기도 한 가야는 정작 국내 역사에서는 고구려, 백제, 신라에 가려 크게 주목받지 못했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수로왕의 전설과 구지가는 대한민국 국민이라면 대부분 기억할 만큼 대중적인 인식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다. 덕후 출신 역사학자 황윤의 편견 없는 가설과 다양한 문헌 해설, 그리고 부지런한 발품을 통하여 드러나는 가야 역사를 보노라면, 신라에 패망하여 ‘가야’라는 이름은 사라졌을지라도, 신라의 삼한일통 과정에 합류, 이후 역사에서 굵직한 존재감을 드러내며 비로소 통합의 역사가 된 가야를 읽어낼 수 있다.

때로는 왜곡되고, 때로는 과장되고 억지스러운 역사의 기록을 함께 확인하고 풀어내는 과정과 각 역사 속 장면과 명칭 등의 의미를 함께 알아가는 가야 역사 여행은 역사에 대한 흥미를 돋우고, 고고학의 재미와 쾌감을 전하기에 충분하다.

광개토대왕릉비에 언급된 가야
고고학으로 임나일본부설을 반박하다

이야기는 부산의 석당박물관에서 만난 광개토대왕릉비에서부터 시작된다. 

百殘新羅舊是屬民由來朝貢(백잔*과 신라는 과거 고구려의 속민이 된 이래 조공을 바쳤는데) 
而倭以辛卯年來渡海破百殘▨▨新羅以爲臣民(왜가 신묘년 이래 바다를 건너 백잔 ▨▨ 신라를 함락(破)하고 신민(臣民)으로 삼았다.) 
*백잔 : 백제를 낮춰 부르는 말

두 번째 문장에서 ▨▨로 표기된 글자는 훼손된 부분으로 명확하지 않지만, 가야로 알려져 있으며, 이 문장은 일본이 임나일본부설을 주장하는 데에 결정적인 증거로 쓰이고 있다. 임나는 가야 지역을 의미하니, 광개토대왕릉비는 왜가 가야를 거점으로 백제, 신라를 점령했음을 뒷받침한다는 것이다. 

과연 정말일까? 저자는 이를 확인하기 위해 김해로 이동한다. 김해에 도착하여 찾은 곳은 대성동 고분군이다. 그중 단연 눈에 띄는 고분은 29호분이다. 봉분은 없어졌으나 고분을 발굴하기 전의 모습으로 전시되어 있는데, 철로 만든 큰 칼, 화살, 청동 솥, 특히 금동관 등 출토된 유물을 통해 당시 왕이라 부를 수 있는 자를 묻은 최초의 무덤이었음을 알 수 있다. 크지 않은 봉우리 형태였으니 만들어진 시기는 3~4세기, 따라서 고구려 5만 대군이 오기 전에 만들어진 고분이다. 

광개토대왕릉비는 414년에 세워졌다. 비에 적힌 신묘년은 391년이며, 고구려가 신라의 부탁을 받고 5만 대군 원정으로 백제와 가야를 토벌한 시기는 400년이다. 왜는 400년 이전까지는 백제와 가야를 통해 철기와 그 외 고급문화를 받아온 입장이었고, 가야, 백제 세력이 약해진 후에야 본격적으로 철기 문화가 발달한다. 가야에서 출토된 유물이 이를 증명한다. 즉, 391년에 일본이 백제, 신라, 가야를 점령했다는 것은 어불성설이라는 의미이다.
 
이 비문 해석에 대해서는 19세기 후반 이후 지금까지 정말 많은 논의가 있었는데, 한일 간 민족주의적 관점이 투영되어 서로 유리하게 보는 경향을 거쳐 현재는 한·중·일 학자들 모두 저 문장을 그대로 읽고 해석하는 경향이 강해졌다. 당시 일본이 바다를 건너 백제, 신라 등을 함락시키고 통치할 수 있는 실력이었는지에 대한 의문을 고고학적으로 비교하여 논리를 구성하고 있다. 

그렇다면 광개토대왕릉비에는 
왜? 백제를 능멸하고 왜를 옹호하는 글이 새겨졌을까

답은 371년 백제 근초고왕의 고구려 침공에서 찾을 수 있다. 세력을 키워가던 백제는 3만 대군을 평양으로 보냈고, 광개토대왕의 할아버지였던 고국원왕이 전투에서 사망하고 만다. 광개토대왕 집권 이후 백제는 꾸준한 공격 대상이었고, 396년 백제는 결국 고구려에 항복하지만 포기하지 않고 고구려와 통교를 맺은 신라를 공격한다. 그리고 이것이 고구려의 5만 대군 남방 원정으로 이어졌다. 고구려가 백제를 낮추고 고구려의 힘을 과시하는 글을 남긴 것은 당연한 순서다. 오죽했으면 광개토대왕릉비에는 백제도 아닌 백잔(百殘) 이라고 백제를 한껏 낮춰 부르고 있다.

직접 남긴 역사조차 없는 가야
그런데 1세기 인물인 김수로는 어떻게 살아남은 것일까

백제, 신라, 고구려만큼의 유명세는 아니어도 누구나 한 번쯤은 가야와 그의 시조 수로왕을 들어봤을 것이다. 김수로는 성씨 가운데 압도적으로 가장 많은 본관을 차지하는 김해 김씨의 시조이기도 하다. 그러면 가야의 맥이 끊기고 직접 남긴 역사조차 없는 와중에 1세기 인물인 김수로는 어떻게 살아남은 것일까? 그의 난생설화와 구지가는 어떻게 우리에게까지 알려진 것일까.

13세기 일연이 저술한 《삼국유사》의 ‘가락국기’ 부분은 가야에 관한 유일한 기록이다. 이것은 11세기 고려 문종 때 김해에 파견되어 지방관을 지낸 문인이 편찬한 《가락국기》를 요약한 것이고, 이는 《개황력》이라는 책에서 왔다는 언급이 있다. 개황이 “금관가야라는 황국을 개창하였다.”라는 의미로 쓰였다고 하니, 《개황력》은 수로왕의 건국 설화를 중심으로 구형왕에 이르기까지의 연대기를 편찬한 것으로 빨라도 6세기 후반, 이는 곧 가야가 멸망하고 난 후의 기록이라는 점이 특징임을 알 수 있다. 그렇다면 일연은 왜 《삼국유사》 기이 편 '가락국기'를 실으며 6가야 중 유독 금관가야 이야기만을 남겼을까. 

이는 가야 패망 이후 신라에서의 가야인 위상을 통해 증명된다. 가야계 출신인 김유신 장군의 증조부는 금관가야의 마지막 왕이었다. 또 그의 여동생이 태종 무열왕의 왕비가 되어 왕비족이 되었고, 결국 삼한일통의 왕 문무왕은 가야계 왕이었던 것이다. 이는 가야는 사라졌지만, 금관가야인의 영향력은 결코 소멸되지 않았음을 의미한다. 따라서 가야의 난생설화는 가야 패망 이후 계속 보완되었고, 금관가야의 역사서인 《개황력》이 가락국기의 유일한 자료로 남을 수 있었음을 유추해 볼 수 있다.

다음은 성씨 문제다. 김씨는 한반도에 언제 출현했을까. 김수로, 수로왕의 성씨는 김씨다. 지금의 성씨 문화에서는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지만, 수로왕이 있었던 1세기에는 성이 없었던 것을 감안한다면, 이 이야기는 분명 후에 덧대어진 이야기일 수밖에 없다. 

《개황력》을 인용한 글에 “수로왕의 성은 김 씨라 하는데, 즉 나라의 조상이 금색 알로부터 나온 까닭으로 금으로 성을 삼았다.” 라는 언급이 있다. 성씨의 사용이 신라 진흥왕 때라는 점을 감안한다면 결국 가야의 시조 수로왕 전설은 결국 진흥왕의 이름이 김진흥으로 언급된 6세기 중반보다 뒤에 지어졌음을 알 수 있다. 결국 수로왕의 이름 디자인 형식을 미루어볼 때도 수로왕을 언급한 《개황력》 또한 최소 6세기 후반 이후에 정리된 책임을 증명한다. 수로왕이 현재 김수로로 성씨를 갖게 된 배경만 보더라도, 신라 내에서 가야인의 위치를 짐작할 수 있다. 심지어 신라의 왕족과 같은 김을 성으로 부여했다.

이 책은 이처럼 당대 사람들이 하고 싶었던 이야기와 상상력으로 가득한 신화에 하나하나 덧붙여진 이야기들을 걷어내는 과정을 통해 베일에 싸였던 가야의 진짜 역사를 찾아 함께 읽어내려 가는 묘미를 선사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