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설현장 산재사망 1위 불명예 태영건설...노동자 안전 대책 시급
건설현장 산재사망 1위 불명예 태영건설...노동자 안전 대책 시급
  • 이병철 기자
  • 승인 2021.04.23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토교통부, 1분기 사망사고 건설사·발주청·지자체 명단 공개
대형건설사 10개 업체, 발주청 12개소, 시·군·구 29개소
태영건설 홈페이지 캡처
태영건설 홈페이지 캡처

건설현장의 사망사고가 끊이지 않고 있다. 올해 3월까지 100대 건설사가 시행한 공사현장에서만 14명의 노동자가 목숨을 잃었다. 사망사고가 가장 많은 건설사는 태영건설(대표 이재규)이다. 1분기에만 3명이 숨졌다. 삼성물산, DL건설(옛 대림건설)에서도 각각 2명의 노동자가 희생됐다. 발주청은 한국토지주택공사(LH)로 2명이 사망했다.

◇태영건설 사망사고 1위 불명예

국토교통부는 올해 1분기 건설사고 사망자가 발생한 시공능력평가 상위 100대 건설사와 발주청·지방자치단체 명단을 지난 21일 공개했다. 국토부는 건설업 산재사망 사고를 줄이기 위해 2019년 5월부터 사망사고가 발생한 대형 건설사·발주청과 지자체 명단을 공시하고 있다.

태영건설의 경우 과천지식정보타운 3BL공구 공동주택공사 현장에서 올해 1월20일과 2월27일 1명씩 목숨을 잃었다. 3월9일에는 ‘구리갈매 지식산업센터 신축공사’ 현장에서 건설차량(펌프카) 손상에 따른 차량 부품과의 충돌로 1명이 숨졌다.

1973년 설립된 태영건설은 윤세영 명예회장이 창업했고, 현재 실질 경영자는 윤석민 회장이다. 최대주주는 윤석민(27.1%)이다. 이상희(3.0%), 윤세영(1.0%), 서암학술장학재단(7.5%), 티와이홀딩스(10.6%)를 보유하고 있다. 포천바이오에너지, 남부에이엠씨, 양산석계AMC, 엠시에타, 엠씨에타개발, 유니시티, 네오시티, 인제스피디움, 대동산업단지, 창원복합행정타운개발, 삼계개발, 걸포도시개발자산관리 등의 계열사를 보유하고 있다. SBS플러스는 지분매각을 통해 종속회사에서 제외됐다.

삼성물산과 DL건설이 각각 2명 발생했다. 공동 2위이다. 현대건설·GS건설·대우건설·롯데건설·한라·금강주택·양우건설에서 각 1명의 사망자가 나왔다.

같은 기간 가장 많은 사망자가 발생한 발주청은 LH이다.  2명의 건설노동자가 사망했다. 국가철도공단·강릉에코파워·산림청·울산 남구·원주시·한국농어촌공사·한국도로공사·한국수자원공사·해남군·홍성군·화순군에서는 각 1명의 사망자가 발생했다.

지자체 중에서는 경기도에서만 건설 산재사고로 12명이 사망했다.

이상주 국토부 기술안전정책관은 “건설주체별 안전관리 강화를 위해 2분기부터는 100대 건설사뿐 아니라 사망사고 발생에 책임이 있는 하도급 업체까지 확대 공개하고 특별점검을 시행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국토부는 사망사고가 생긴 10개 대형건설사에 대해 6월까지 특별점검을 할 예정이다.

◇건설 사망자 감소 추세.

대형건설업체가 시공하는 건설현장에서 산재 사망자는 매년 감소 추세이다. 5년간(2016.1.~2020.9.) 30대 건설사에서 발생한 산재사고 사망자가 총 221명이다.

지난 2월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윤준병 의원(더불어민주당, 전북 정읍시·고창군)이 고용노동부로부터 제출받은 ‘최근 5년간 연도별 30대 건설사별 산재사고 현황’ 자료에 따르면, 30대 건설사에서 발생한 산업재해 사망자 수는 총 221명으로 집계됐다. 대우건설이 22명으로 가장 많았으며, 포스코건설 21명, 현대건설 17명, SK건설·GS건설 14명, 대림산업 12명 순이었다.

30대 건설사에서 발생한 산재사고 재해자(사망자 포함) 수는 5년간 총 7911명으로 나타났다. 건설사별로는 GS건설 1452명, 대우건설 859명, 현대건설 516명 순이었으며, 사고유형별로는 ‘떨어짐’ 1979명, ‘넘어짐’ 1707명, ‘물체에 맞음’ 966명 순으로 나타났다.

윤 의원은 “최근 5년간 30대 건설사의 산재사고 사망자가 221명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며 “특히 기본적인 안전장치와 안전수칙 준수 등을 통해 사전에 예방할 수 있는 추락·협착·전도 등 소위 ‘5대 후진국형 재해’로 인한 사망이 10명 중 7명에 달하고 있는 것은 매우 심각한 문제”라고 지적했다.

이어 “대형건설사에 비해 중소건설사와 소규모 사업장의 안전 상황은 더욱 열악한 것이 현실”이라며 “후진국형 재해 등 건설업계의 고질적인 행태를 개선할 수 있는 특단의 조치로 산재사고를 줄여나가야 할 것”이라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