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김선제 채권칼럼] 단기 국공채 수요증가
[김선제 채권칼럼] 단기 국공채 수요증가
  • 김선제 한국증권경제연구소 연구위원, 경영학박사
  • 승인 2014.04.04
  • 호수 98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시중자금 국공채 몰리거나 단기 부동화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아

만기 1년 미만의 단기 국공채에 대해 개인들의 투자 수요가 급등하고 있다.

금년 들어 우리나라 주식시장이 횡보를 지속하고 있는 가운데, 선진국을 비롯하여 국내외에서 금리인상 가능성이 커지면서 투자할 곳이 마땅하지 않은 개인 자산가들의 자금이 몰리고 있다.

1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6∼2.7%이고, 지방채 금리는 3% 중반으로서 은행 정기예금 금리 보다 약간 높으며, 안전하면서도 자금이 필요할 때는 언제든지 환금성이 좋다는 점이 부각되고 있다.

아울러 단기 채권형 수익증권에도 개인투자자들의 자금이 크게 늘고 있다. 최근 출시된 자산운용회사의 단기 국공채펀드에는 매일 10∼20억원의 개인자금이 유입되고 있다.

이 같은 단기국공채 인기에 힘입어 단기 국공채펀드 잔액이 급증하고 있다. 단기국공채펀드 잔액의 추이를 보면, 2011년 16조 7,010억원에서 2012년 17조 6,107억원, 2013년 21조 2,537억원, 2014년 3월 24조 8,873억원으로써 금년 들어 매달 1조원 넘게 증가하였다. 금년 3월 잔액은 작년말 보다 17.1% 증가하였으며, 2012년말과 비교해서는 41.3% 증가하였다.

만기 1년미만 국공채 투자가 인기를 끄는 것은 국내외 증권시장이 불안정해지면서 안정한 금융상품에 대한 개인 및 기업들의 수요가 커졌기 때문이다. 또한 채권은 금리가 상승하면 채권가격이 하락하는 데, 만기가 짧기 때문에 시장금리 상승에 따른 수익률 하락을 방어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단기 국공채 금리는 국가가 발행하는 1년 만기 국고채 금리는 2%대 중반이지만, 지방자치단체가 발행하는 만기 1년이하 지방채는 금리가 연 3%대 중반으로써 비교적 높은 편이다.

우리나라에서는 아직까지 광역지방자치단체의 경우 채무불이행 사태가 발생한 사례가 없기 때문에 투자자들이 상대적으로 수익률이 높은 지방채 투자에 적극적인 자세를 보이고 있다.

그러나 시중자금이 국공채로 몰리거나 단기 부동화하는 현상은 바람직하지 않다. 기업으로 유입되어야 할 장기자금이 감소하고 회사채 시장이 더욱 위축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시중자금이 기업으로 유입되어야 기업들은 저렴하게 자금을 조달할 수 있으며, 생산요소 비용이 감소하므로 투자를 확대하게 되고, 거시경제 측면에서 기업들의 투자가 확대되어야 경제성장과 고용창출이 증가하게 된다. 관계당국은 시중자금이 기업으로 유입될 수 있는 방안을 적극 실행해야 한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