美 금리인하 vs 中 긴축정책
美 금리인하 vs 中 긴축정책
  • 강세훈 기자
  • 승인 2007.12.1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증시 어디에 무게를 둬야 하나?
미국 FOMC회의를 앞두고 신용경색에 대한 우려로 금리인하는 이미 기정사실화 되고 있는 상황에서 그 폭이 25bp냐 50bp냐에 관심이 집중되고 있다. 반면 중국은 과도한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해 지난주말 지급준비율을 100bp 인상하는 긴축을 단행했다. 이는 20년만에 최고수준이 되게 한 것으로 그만큼 중국 당국의 긴축의지가 강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게다가 12일 미국과 중국 간 전략적 경제대화가 예정돼 있어 위안화절상도 화두로 떠오르고 있다. 이같은 상황에서 10일 국내증시는 중국 긴축에 대한 투자심리 위축으로 27포인트나 주저앉았다. 이같은 분위기로 볼때 국내증시는 미국의 금리인하로 인한 ‘싼타랠리’ 기대보다는 중국 긴축에 대한 불안으로 방향성을 잡아가는 모습이다. 전문가도 미국금리인하 보다는 중국긴축에 대한 영향에 더 무게를 둬야 한다는 의견이다. 25BP정도로 예상되는 금리인하 수준은 이미 증시에 선반영돼 있기 때문인데, 단기적인 안정 효과보다는 신용경색에 대한 불안에 초점을 맞춰야 할 것이라는 설명이다. 우리투자증권 오태동 연구원은 “미국 금리인하 기대보다는 중국 긴축쪽에 무게를 둬야 할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는 “미국 금리인하는 시장이 이미 반영하고 있는 상태라며 금리인하를 하더라도 추가 인하에 대한 발언이 없다면 호재로 작용하지는 않을 것”이라고 밝혔다. 따라서 국내증시는 미국금리인하 보다는 중국의 인플레에 대한 긴축에 민감하게 반응하게 될 것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상황속에 IT·자동차·통신주들이 증시를 이끌고 있지만 중국의 긴축으로 인해 선진국에 의존하려는 맥락에서는 모멘텀이 부족하다는 분석이다. NH투자증권 임정석 연구원은 “미국금리 인하나 중국의 긴축 둘 다 좋지 않은 상황이라며 기대감보다는 경고음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말했다. “미국금리인하는 곧 미국 경기둔화가 본격화를 자인하는 것으로 그동안의 금리인하와는 다른 차원으로 해석해야 한다”고 밝혔다. 또한 “중국 긴축정책도 단기적으로 내년 성장률을 둔화 시킬수 있다는 측면에서 경기모멘텀이 약화될 수 있음을 의미하기 때문”이라며, 따라서 “국내증시에도 부담이 되는 만큼 중국관련주들에 대한 기대치를 낮춰야 한다”고 조언했다. 임 연구원은 “내년 1분기 까지는 방어적인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다”고 조언했다. 이같은 상황에서 주도업종을 찾기는 힘들다며 통신·IT·자동차 주들이 경기관련주라는 점에서 상대적으로 방어는 가능하겠지만 지수를 끌어올리기는 힘들것으로 내다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