영끌 몰린 '노도강' 대폭하락… 고덕 33평 16억서 6억내려 간신히 10억 유지
금리인상과 추가하락 우려가 원인…내년 상반기까지 하락세 멈추지 않을 듯
집값 거품 붕괴가 가속화 할 조짐을 보이고 있다. 부동산 전문가들은 이미 집값 하락 시그널이 퍼진 상태에서 이미 하락세는 대세를 이른 상태라고 진단한다. 이들은 재건축 호재조차도 시장에 먹히지 않는 등 부동산경기 침체가 장기화 하는 국면이고 보면 내년 상반기까지 집값 반등은 불가능할 것이라는 비관적인 전망을 내린다.
24일 한국부동산원에 따르면 서울 아파트값이 주간 단위 기준으로 역대 최대로 하락했다. 가파른 금리 인상과 집값 추가 하락 우려가 맞물리면서 주택 수요가 급감한 것이 주요 원인이다.
이번 주(21일 기준) 서울 아파트값은 일주일 전보다 0.52% 하락해 3주 연속 최대 하락 기록을 경신했다. 이는 지난 5월 말부터 26주 연속 하락세로, 2012년 5월 통계 집계 이후 최대 낙폭이다.

지난 2020~21년에 20·30세대 ‘영끌족‘이 아파트를 대거 사들였던 ‘노도강’의 낙폭이 두드러졌다. 노원구는 0.88%로 가장 큰 폭의 하락세를 보였고 이어 도봉구와 강북구도 각각 0.83%, 0.74% 내려 비슷한 낙폭을 보였다. 은평구(-0.61%), 동대문구(-0.6%), 송파구(-0.57%), 강동구(-0.55%)도 큰 하락폭을 보였다.
개별 단지 중에는 노원구 월계동 전용면적 84㎡가 이달 중순 8억원(12층)에 팔려 지난 4월 최고가 11억5750만원에 비해 3억5000만원 넘게 하락했다. 강동구 고덕 일대에선 신축 아파트 ‘국민 평형’이 지난 8월 16억~17억원선에서 6억원 정도 내린 10억원대로 떨어진 거래가 등장했다. 인근의 부동산중개업소는 앞으로 집값이 더 내릴 것이라는 인식이퍼져 집을 보려는 사람이 거의 없다고 전했다.
수도권도 집값 추락도 심상치 않다. 경기도(-0.61%)와 인천(-0.83%)을 포함한 수도권 아파트값은 이번 주 0.61% 내려 모두 역대 최대 낙폭을 기록했다. 정부가 지난 10일 과천·성남(분당·수정)·하남·광명시를 제외한 경기도 규제지역을 모두 풀었지만 하락세 저지효과는 나타나지 않았다.
광명시(-1.11%)를 비롯해 부천시(-1.04%), 안양 동안구(-1.02%), 양주시(-1.01%)는 1% 넘게 급락했다. 문종훈 부동산원 주택통계 부장은 “매물 적체가 두드러지는 대단지 위주로 하락세가 컸다”고 말했다. 1500가구 규모인 광명시 일직동 광명역유플래닛데시앙 전용 84㎡는 이달 중순 9억8000만원(31층)에 팔렸다. 지난해 6월 최고가였던 15억2000만원보다 5억원 넘게 하락했다.
주택 거래절벽도 더욱 심화하는 추세다. 서울부동산정보광장에 따르면 지난달 서울 아파트 거래량은 536건에 그쳤다.. 아직 거래 신고 마감이 한 주 남았지만, 월별 기준으로 2006년 관련 통계 집계 이후 역대 최저를 기록할 가능성이 크다.
종전 최저치는 지난 9월 611건이었다. 송파구(43건), 노원·성북구(42건), 구로구(35건) 순으로 거래가 많았고 광진구(9건), 용산구(8건), 종로구(4건)는 한 자릿수에 그쳤다.
전국 아파트 매매가격지수도 0.50% 떨어져 지난주(-0.47%)에 비해 하락폭이 커졌다. 전국 176개 시·군·구 가운데 집값이 낮아진 지역이 172곳에 달한다. 인천(-0.79%→-0.83%), 경기(-0.59%→-0.61%), 세종(-0.62%→-0.64%), 부산(-0.44%→-0.46%), 울산(-0.59%→-0.65%), 대구(-0.48%→-0.59% 등 주요도시가 모두 내렸다.
이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에도 영향을 미쳤다. 전국(-0.53%→-0.59%)이 낙폭을 벌리면서 서울(-0.59%→-0.73%)은 물론 수도권(-0.70%→-0.81%)과 지방권(-0.37%→-0.39%) 모두 아파트 전셋값 하향 조정폭을 키우게 됐다.
한국부동산원 관계자는 “금리인상과 집값고점 우려 등으로 매수자는 추가 하락을 기다리면서 관망세가 짙어지고 있다”며 “급매물 위주로만 간헐적으로 거래가 성사되는 시장 상황이 지속되며 하락폭이 확대했다”고 분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