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은행이 기준 금리를 0.25%포인트 인상했다. 인플레이션(물가 상승)을 잡기 위한 금리 인상이다.
이창용 한은 총재는 25일 오전 서울 중구에 있는 한은에서 금융통화위원회(금통위) 통화정책방향회의(통방)를 열고 기준 금리를 연 2.25%에서 2.50%으로 0.25%포인트 올리기로 결정했다.
앞서 한은은 4월, 5월, 7월에 연속으로 기준금리를 인상했다. 6월은 통방이 열리지 않았다. 기 준금리 4회 연속 인상은 1999년 기준금리 도입 후 처음.
한은은 물가를 억제하기 위해 기준금리를 인상한 것이다. 7월 소비자물가 상승률은 6.3%이다. 1998년 11월 이후 가장 높다.
한은은 지금과 같은 물가 상승 추이가 당초 전망 경로에서 벗어나지 않았다고 분석한다. 한은과 정부는 오는 9~10월 물가 상승률이 정점을 찍는다고 내다봤다.
한국과 미국 간 금리 역전됐다. 현재 미국 정책금리는 연 2.25~2.5%. 한국보다 0.00~0.25%포인트 높다. 이번에 기준 금리를 2.5%로 인상으로 미국 정책 금리 상단을 따라잡았다.
한·미 금리 역전 현상은 국내에 투자된 외국 자본 유출을 유발하고 원/달러 환율 상승을 부추긴다. 원/달러 환율이 오르면 수입물가가 상승해 시차를 두고 국내 소비자물가를 자극한다.
한·미 금리는 지난달 말에 역전된 후 이달 들어 원/달러 환율은 1340원대를 돌파했다. 13년 4개월 만에 최고치이다. 원/달러 환율을 안정시키려면 기준 금리를 올려 원화 가치를 높여야 한다는 게 전문가들의 조언이다.
Tag
#한국은행
저작권자 © 한국증권신문 무단전재 및 재배포 금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