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T 구현모 사장 로봇 강제할당 판매...이석채 전 회장이 실패한 키봇 답습 '논란'
KT 구현모 사장 로봇 강제할당 판매...이석채 전 회장이 실패한 키봇 답습 '논란'
  • 조경호 기자
  • 승인 2022.07.0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기술력 없는 KT의 무리한 로봇 사업 확장에 애먼 직원들만 강제 판매 할당에 시달려
광역본부별 할당을 비롯해 협력업체까지 강제할당 동원설...판매량 못채운 인사 압박설
구현모 KT사장
구현모 KT사장

구현모 KT사장에 리더십 위기이다. ESG(환경ㆍ사회ㆍ지배구조)경영은 뒷전. 전임 이석채 회장의 실패한 키봇(교육용 로봇) 사업에 이어 기술력도 없이 로봇 사업에 뛰어들어 애먼 직원들에게 실적 압박하고 있다는 비판이 나오고 있다.

한국일보는 5일 <[단독] "로봇 팔아 와라" KT, 직원들에 강제할당 논란>제하 기사를 통해 KT가 직원과 외부협체에 로봇 판매를 강제 할당해 논란이 되고 있다고 보도했다. 

KT가 영업 직원들에게 1인당 월 1대씩 로봇 판매를 강제 할당했다. 대당 가격이 수천만 원을 호가하는 로봇을 월 60만~70만 원 받고 빌려주는 임대 영업을  하고 있다. 로봇은 식당에서 음식을 나르는 서비스 로봇과 사업장에서 살균 및 소독을 하는 방역 로봇 등 두 종류이다.

전국 6개 광역본부에 영업조직을 둔 KT는 영업 직원들은 1인당 월 1대 판매를 강제할딩한 것으로 알려진다.  36개월 임대 계약시 서비스 로봇은 월 65만 원, 방역로봇은 월 75만 원이다. 

KT 직원이 월 임대료를 대신 내주고 계약하는 사례까지 발생하고 있다. 친척과 친구 중 식당 운영하는 사람에게 부탁해 로봇 임대 계약을 맺고 일정 기간 비용을 대신 내주기는 경우도 비일배재한 것으로 알려진다. 

강제 할당을 받은 직원들이 편법적인 방법으로 할당을 채우는 이유는  불이익에 대한 우려 때문.

KT의 한 영업 관계자는 "회사에서 구체적으로 불이익을 언급하지 않았지만 할당 목표를 채우지 못하면 실적 평가에 좋지 않은 영향을 미쳐 승진과 연봉 협상에서 불리하다. 이 점을 모든 영업직원이 알고 있다"고 했다.

강제 할당은 직원 뿐만 아니라 협력업체나 납품업체에까지 강제 판매 불똥이 튀고 있다.

업계 관계자는 "일부 협력사나 납품업체들이 KT 직원들로부터 로봇을 팔아 달라는 협조 요청을 받았다"며 "요청을 무시할 수 없어 울며 겨자 먹기 식으로 들어준 경우가 있다"고 했다.

KT가 무리수를 두는 이유는 로봇 판매가 목표에 크게 미치지 못하기 때문. 로봇 사업은 구현모 대표가 관심이 높은 사업이다. 지난 4월 20일 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월드 IT쇼 2022’(WIS 2022) VIP 투어에 직접 참관했다. KT가 주도하는 산학연협의체인 'AI원팀'에 속한 LG전자 부스를 방문해 로봇사업에 대한 관심을 드러냈다.

구 대표는  “로봇이 우리 생활 속으로 들어올 시기가 있다고 생각한다”며 “삼성전자와 LG전자도 로봇 제작 계획을 발표했다”고 말했다.

이어 “KT는 로봇 컨설팅·판매·관리 등을 오랫동안 준비해왔다”라며 “로봇 제조사와 협업해 로봇사업을 하고, 우리나라 로봇 생태계를 잘 구축해 나갈 수 있을 것”이라고 했다.

KT는 로봇 자체보다 솔루션 공급자로서 KT의 입지를 강화하겠다는 구상을 드러낸 것. 

구 대표의 야심찬 로봇 판매 사업은 경제상황이 악화되면서 녹록치 않다. 올해 로봇 판매 목표는 2,258대이다. 6월말 기준 판매 실적이 약 680대이다. 목표치의 30%에  불과하다.

이에 대해 KT는  "강제 할당은 없다"는 입장이다.

KT 관계자는 "로봇은 KT가 중요하게 생각하는 전략 사업 중 하나이다. 회사에서 직원에게 판매량을 강제 할당하지 않았다.  팔지 못해도 불이익을 주지 않는다"면서  "영업조직은 모든 상품에 판매 목표를 갖고 있다. 여기에 영업직원들이 항상 부담을 느낀다.  외부에서 이를 할당처럼 볼 수 있다"고 했다.

문제는 KT가 로봇사업을 영위할 이유가 없다는 것. 베어로보틱스, 현대로보틱스 등에서 만드는 로봇을 공급받아 판매한다. 판매 수익약 30%. 결국 제조회사를 위한 마케팅 행위에 불고하다는 지적이다.

KT 영업 관계자는 "그동안 이동통신과 초고속인터넷, 인터넷TV 등 숱한 상품의 판매 압박이 있었다. 본원적 경쟁력과 직결된 것이어서 감수했다"며 " 만들지도 않는 로봇을 대신 파는 일은 본원적 경쟁력 향상과 무관하다. 제조업체만 좋은 일 시키는 것"이라고 전했다.

또 다른 영업관계자는 "회사가 직원에게 강제하지 않았다고 말하면서도 광역본부별, 직원 별로 판매 목표를 정하고 부서별 실적을 집계하는 것만으로 강제할당이다. 직원들은 스트레스이다. 강제 할당을 중단하고 로봇사업을 성공시키기 위해서는 로봇산업에 대한 기술력을 키워야 한다"고 말했다.

과거 이석채 전 회장 시절에도 '키봇'이라는 스마트 교육로봇 사업을 추진한 적이 있다. 자체 기술력 부재로 성과 없이 마무리 됐다.

업계 관계자는 "키봇의 경우 KT 내부에 로봇 기술력이 없다 보니 제조업체에 끌려다닐 수밖에 없었다"며 “지금 로봇 사업도 KT 내부에 기술력이 없다는 것이 문제"라고 지적했다. 

◇직원 강제 할당 

KT의 직원 강제 할당 논란은 어제 오늘 일이 아니다.

2019년 KT가 직원 강제할당 논란을 초래한 5G 임직원 추천판매 프로그램을 한 달여 만에 조기 중단했다. 당시 '5G 굿체인지 프로모션'에서 비영업부서 직원에 대한 건수 할당, 줄 세우기 등이 광범위하게 진행했던 것으로 알려졌다.

당시 노조는 "부서별 실적 비교를 통해 판매 압박을 한다는 응답도 많았다. 사무실에서 개인을 지목해 가족에게 개통할 것을 권유했다. 부서별로 5G 굿체인지 실적을 수합하는 행위를 전면 금지해야 한다"고 했다.

딩시 KT 측은 "굿체인지 프로모션은 직원 자발적 판촉 행사라며 노조 요구로 중단한 게 아니라 자체 판단에 따라 언제든 중단할 수 있다"고 했다. 

지난해 5월에도 강제할당이 문제가 됐다.  5월 10일 출시된 상품인 ‘올레tv탭’이 직원 강제 판매, 대리점 밀어내기를 통한 실적 부풀리기 비판이 나왔다. 

당시 블라인드 게시물에 '올레tv탭 대리점 밀어내기 그만 좀 막아줘요’라는 제목의 글이 올라왔다.  대형대리점은 200대 이상, 중소형대리점은 100대 이상 주문하도록 KT대리점을 대상으로 밀어내기를 하고 있다는 내용이다. 

KT 현장 조직에 근무하는 조합원들로 구성된 KT민주동지회 측은 “ KT 서울 강남지역 본부의 적나라한 직원할당 판매, 허수 경영 행태가 내부에서 문제가 됐다. 그럼에도  사 측은 조치는 커녕 실태조사도 벌이지 않았다”며 “최고경영자인 구현모 사장부터 직접 ‘허수경영’을 부추키고 있는 것이 아니냐는 지적이 일각에서 제기되고 있다."고 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