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음의 사업장' 포스코 CEO 최정우 회장 연임 불가론 커진 이유
'죽음의 사업장' 포스코 CEO 최정우 회장 연임 불가론 커진 이유
  • 이병철 기자
  • 승인 2021.02.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포스코지회, 중대재해 원인 대책 못찾은 崔 무책임ㆍ무능력 '연임 불가'
자본-이윤 성과주의에 노동자 기계 부품 전락..."노동자도 사람이다"
최정우 회장 @뉴시스
최정우 회장 @뉴시스

포스코 최정우 회장이 리더십이 흔들리고 있다. 차기 회장으로 내정되어 3월 주주총회에서 의결 등 마지작 절차를 남겨둔 최 회장의 연임 가도에 제동이 걸렸다. 철강업의 장기침체, 실적, 안전사고 등이 풀어야 할 숙제이다.  취임 이후 중대 재해가 증가한 것이 연임에 발목을 잡고 있다. 지난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 산업재해청문회는 최 회장의 성토장이 됐다. 2기 최정우 호(號)에 순항이 순탄치 않음을 예견하고 있다.

24일  민주노총 금속노조 포스코지회(김호규 위원장)은 최정우 회장의 국회 청문회 증인 출석과 관련 성명서를 통해 "청문회가 중대재해 원인과 대책을 못 찾고 최 회장의 성토장이 됐다"면서 "최회장의 무능력을 확인한 청문회였다. 세계적 철강기업의 회장으로서 연임할 자격이 없다"고 연임에 부정적 의견을 냈다.

안전사고 시 사업주 처벌을 강화하는 국회의 '중대재해처벌 등에 관한 법'이 1월 18일 국회 본회의를 통과했다. 안전사고로 노동자가 사망할 경우 사업주 또는 경영책임자이게 1년 이상의 징역이나 10억원 이하의 벌금이, 법인에는 50억원 이하의 벌금을 부과하도록 했다.

최회장이 포스코 회장에 취임한 2018년부터 최근까지 발생한 중대 재해에서 노동자 19명이 사망했다. 최 회장의 재임기간 동안 14명이 사망했다.

지난 22일 국회 환경노동위원회가 처음 연 산업재해청문회에 연이어 중대재해가 발생한 포스코의 최고경영자인 최정우 회장이 증인 출석했다. '허리병'을 이유로 불출석 의견과 형식적인 자료 제출이 논란이 됐다. 여론의 비판에 최 회장은 증인석에 섰다. 국회의원들의 비판과 질타가 쏟아졌다.

노웅래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포항제철소에서만 13명이 죽어 나갔다. 처벌은 고작 벌금 2,500만 원이다. 노동자 한 명 몸값이 200만 원도 안 된다."고 지적했다

임이자 국민의힘 의원은 "(산재 사고도) 산재 사망 사고도 더 배로 늘어났다. 협력사 안전관리비가 인색하다. 그러니까 하청노동자만 죽는 것 아닌가?"라고 질타했다.

이에 포스코 최정우 회장은 "최근 연이은 사고에 대해 국민들께 심려를 끼쳐드려 대단히 죄송하다. 유족분들께 진심으로 사과드린다"며 고개를 숙였다.

사고의 주요 원인으로 시설의 노후화를 꼽았다. 50년 이상된 노후시설이 많다는 것.

그는 “안전 최우선을 목표로 시설 투자 등 노력을 하고 있다”고 밝혔다. 포스코는 지난 3년간 안전보건 종합대책으로 1조 3000억원을 투자한 것으로 알려진다. 

포스코가 자체 작성한 산재등록 건수(공상 포함)의 절반 가량이 산재가 아닌 공상 처리됐다. 산재 는 업무 중 사고를 당하거나 업무상 질병을 얻은 근로자가 산재 신고를 하면 근로복지공단이 보험금을 지급하는 제도이다. 반면 공상은 산재신고 없이 사측이 근로자와 직접 합의해 피해를 보상한다.

2018~2020년 포스코 전체 재해 77건(포항 38건·광양 39건) 중 45.5%인 35건(포항 44.7%·광양 46.2%)이 공상처리에 해당된다. 10년간 포스코 전체 평균인 26.3%를 훨씬 웃도는 수치다.

2019년에는 포항에서 전체 재해 21건 중 공상처리가 14건(66.7%), 광양에서는 전체 22건 중 12건(54.5%)이다. 절반을 넘었다.

금속노조 포스코지회와 사내하청지회는 성명을 내고 청문회에서 보여준 최 회장의 사과는 말뿐이었다고 비판했다.

김호규 위원장은 성명서를 통해 "하청 노동자 사망사고로 고용노동부의 감독을 앞두고 포스코가 위험성 평가 보고서를 조직적이고 체계적으로 조작 지시했다"면서 "살인기업, 질병공장으로 불리게 된 포스코의 현실에서 최고 경영자의 자리에 앉은 최 회자으이 책임이 크다. 더 이상 죄송하고 사죄한다는 무책임한 말로 해결될 문제가 아니다"고 했다.

이어 "청문회에서 최 회장의 감춰졌던 무능력을 국민 모두가 생방송으로 확인했다. 무책임, 무능력, 무대책이 검증된 최 회장의 연임은 과욕이다. 지금도 늦지 않다. 상처뿐인 최 회장으로는 포스코의 중대재해를 막을 수 없다. 혁신도 가능하지 않다. 3월 12일 정기 주총 이전에 겸허하게 연임을 포기하고 물러나는 것이 정도경영"이라고 지적했다.

최 회장에 대한 비판과 질타로 채운 국회청문회가 끝났다. 3월 정기주총에서 연임 문제에 대해 세간의 이목이 모아지고 있다.

포스코의 최대주주는 국민연금공단(11.43%)이다. 포스코에 대한 사회적 책임론이 커지면서 국민연금공단이 스튜어드코드십(기관투자자의 의결권 행사)을 발동해 최 회장의 연임을 막고, 사회적 책임을 강화시켜야 한다는 목소리가 힘을 얻고 있다. 

포스코는 2000년 안전 민영화된 외국인 지분이 54%에 이른다. 정부가 인사에 개입할 권한은 없다. 하지만 매 정권때마다 시끄러웠다. 전임 정준양ㆍ권오준 전 회장도 연임에 성공했지만, 도중 낙마했다. 3월 연임 가능성이 높은 최 회장에게도 'CEO리스크'그림자가 드리워지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