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G화학, 'SK이노 전쟁'에 배터리 화재 '책임론'까지
LG화학, 'SK이노 전쟁'에 배터리 화재 '책임론'까지
  • 오혁진 기자
  • 승인 2019.10.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증권신문 정치사회부-오혁진 기자] LG화학이 골머리를 썩고 있다. SK이노베이션과의 배터리 전쟁에 이어 최근 ESS 화재 사고 중 절반이 LG화학의 배터리로 였던 것으로 드러났다. 앞서 신학철 LG화학 부회장과 김준 SK이노베이션 총괄사장은 '배터리 전쟁' 해결을 위해 ‘접점’을 모색했으나 성과를 거두지 못했다. 특히 2014년 두 회사가 소송하지 않기로 합의한 문건이 외부에 알려지면서 논란이 거세지고 있다. 이 합의 내용과는 다르게 한쪽이 약속을 어기고 무리수를 둔 소송을 이어가고 있어서다.

지난 6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정부가 에너지저장장치(ESS) 배터리 화재 사고에 대해 조사에 나선 바 있다. 정부는 민관합동 사고조사위원회를 꾸려 LG화학의 제품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했으나 제대로 대처하지 못했다.

이날 국회산업통상자원중소벤처기업위원회 소속 이훈 더불어민주당 의원이 내놓은 자료에 따르면 2017년 8월부터 발생한 ESS 화재 사고는 총 26건으로 집계됐다. 이중 LG화학 배터리의 화재사고 건수는 총 14건으로 절반이 넘는다.

LG화학 배터리 화재와 관련된 제품은 모두 2017년 2분기부터 4분기 동안 LG화학 중국 남경공장에서 만들어진 초기 물량으로 알려졌다.

삼성SDI의 경우 총 9건의 화재가 일어났지만 제품의 제조일자는 특정 시기에 집중되지 않은 것으로 드러났다.

조사위는 ESS배터리 화재원인에 대해 ▲배터리시스템 결함 ▲전기충격에 대한 보호체계미흡 ▲운용환경관리 미흡 ▲ESS 통합관리 체계부재 등을 꼽았다.

그러나 조사위는 5개월간의 조사 끝에 해당 배터리를 화재의 ‘직접 요인’으로 지목하지는 않았다. 결함을 모사한 셀로 시행한 충·방전 반복 시험을 180회 이상 반복했지만 발화로 이어질 셀 내부 단락(합선 등의 이유로 과다한 전류가 흐르는 현상)이 발생하지 않았다는 이유에서였다.

조사위는 화재 반복 이유로, 전기적 충격에 대한 배터리 보호시스템 미흡, 먼지·결로 등을 막지 못하는 운영·환경관리 미흡, 설치 부주의, 통합 보호·관리 체계 미흡 등 애매한 결론을 내렸다는 비판을 샀다.

반면 이훈 의원은 사실상 ESS배터리 시설의 화재는 배터리와 배터리 보호시스템의 결함에서 비롯됐다고 봤다. 실제 2018년 9월1일 발생한 충북 '영동군 다니엘영동태양광' ESS화재는 LG화학 배터리 2017년 4분기 제조제품이 설치된 곳이었다. 화재원인 감식에서 국립과학수사연구원(국과수)은 법안전감정서를 통해 배터리 모듈에서 발화된 것으로 추정했다.

또한 2018년 12월17일 충북 제천 화재와 2019년 5월4일 경북 칠곡 사고도 LG화학의 배터리에서 시작된 것으로 나타났다.

이 의원은 조사위에서 LG화학의 자발적 리콜이 필요하다는 지적도 있었다는 견해도 내놨다.

이 의원은 "정부의 합동조사결과 발표는 배터리 결함으로 집중돼 지목된 결과를 올바르게 전달하지 않았다"고 지적했다.

LG화학이 배터리 교체를 결정한다면 화재 및 운영 손실 등과 관련된 각종 보상 문제가 불거질 전망이다. 지난 8월 말 기준 전국 1490곳 에너지저장장치 사업장 가운데 198곳이 문제의 LG화학 제품을 쓰고 있다.

LG화학 관계자는 “현재 자체적으로 화재 원인 분석을 위해 실험에 착수했고, 결과가 나올면 이에 맞는 조치를 취할 예정”이라며 “다만 해당 배터리들은 국내는 물론 같은 시기 해외에서도 설치됐는데 해외에선 화재가 나지 않았다”고 설명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