日불매운동 여파, 은행권 '日 생체인증기술' 도입 제동
日불매운동 여파, 은행권 '日 생체인증기술' 도입 제동
  • 조나단 기자
  • 승인 2019.08.2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일본 불매운동으로 인해 생체인증 기술을 도입할 예정이었던 국내 금융권에도 제동이 걸릴 위기에 놓였다. 

부산은행은 지정맥 생체인증을 통한 창구 소액 지급 서비스를 시범 실시했다. / 사진= 부산은행 제공

 

금융권은 최근 바이오인증과 관련된 기술을 도입하기 위해 힘을 쏟고 있는데, 현재 국내 정보기술(IT) 기업의 경우 홍채·지문·안면인식 기술 위주로 개발하고있기 때문에 인증상의 불편함이나 고객의 거부감 등을 이유로 외면받고 있는 상황이다. 때문에 생체인증 기술을 도입하려고 노력하고 있는데, 그 중에 일본 후지쓰와 히타치의 정맥인증 기술이 물망에 올라 문제가 제기된 것이다.

일본 후지쓰와 히타치의 정맥인증 기술은 다른 인증 방식에 비해 확인까지 걸리는 시간이 짧은데다 다른 생체인증 방식에 비해 고객들의 심리적인 저항감도 낮아 은행에서 선호한다는 이야기다.

한국정보보호산업협회 등에 따르면 정맥인증 국내 시장의 규모는 지난 2017년 기준 87억3,500만원으로 연평균 약 16%씩 성장하고 있는데, 가파른 성장에 따른 과실을 두 일본계 기업이 독식하고 있다. 은행권은 바이오 ATM을 빠르게 늘려 디지털 전환에 속도를 내고 있는 만큼 쉬쉬하는 분위기다. 지점을 줄여 비용 절감을 하는 과정에서 생겨날 수 있는 고객의 불편을 최소화하는 방안으로 떠오른게 바이오 ATM이기 때문이다. 

업계 관계자는 "미래산업에 있어 모든 업종에서 무인화는 어쩔 수 없는 것"이라며 "다만 지금 당장 일본 기업 외에는 정맥인증 기술을 들여올 곳이 없는 만큼 상황을 지켜봐야 할 필요가 있으며, 향후 국내 기업으로 공급선을 다변화하는 방안도 검토할 필요가 있어 보인다"고 말했다. 

한편, 최근 청와대 국민청원 게시판을 통해 '은행의 일본기술 도입 및 기술 확산 금지를 청원합니다'라는 글이 게재돼 눈길을 끌기도 했다. 작성자는 "국내 은행들이 자동화기기(ATM)·디지털키오스크 등에 생체인식 기술을 빠른 속도로 도입하고 있으며 공항·편의점 등에서도 이 생체정보를 사용하려 하고 있다. 이 기술을 도입한 기업은 일본계로 우리 국민이 입금·이체하거나 신분을 확인할 때 일본 원천기술 제품을 사용하는 셈이다"고 강조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