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반도 운명 가를 2차 북미정상회담 27·28일 베트남서 열려
한반도 운명 가를 2차 북미정상회담 27·28일 베트남서 열려
  • 조나단 기자
  • 승인 2019.02.0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제2차 북미정상회담이 기정사실화되면서 아시아 국가 및 한국의 시선이 집중되고 있다.
한국의 '남북경협주' 2월 7일 장 시작과 동시에 '상승세' 中

트럼프 美 대통령이 신년 국정연설에 앞서 진행된 회담에서 오는 27일과 28일 양일간 베트남에서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과의 2차 북미정상회담을 개최하겠다는 입장을 밝혀 눈길을 끌고 있다.

좌측부터 김정은 북한
좌측부터 김정은 북한 국무위원장 /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

지난 5일(현지시간)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의회에서 국정연설을 갖기 전 TV 방송사들의 뉴스 앵커들과 만나 27~28일 베트남에서 김정은 위원장과 정상회담을 갖기로 했다고 말했다. 

이에따라 미국과 북한의 두 정상은 지난해 6월 12일 싱가포르에서 얼굴을 마주한지 8개월여만에 한반도 비핵화 등에 대한 재협상에 들어가게 됐다. 그러나 지난 싱가포르 때와는 달리 계획대로 무난한 여정이 될 것이란 관측이 우세하게 나오고 있다.

지난해 1차 북미정상회담이 성사되기까지 곳곳에 암초가 많았다. 사전 물밑 접촉이 진행되는 동안에도 양측은 서로에 대한 악감정을 숨지기 않으면서 날선 신경전을 펼치기도 했다. 상황이 악화되면서 양측은 회담 개최를 없던 것으로 하겠다며 최악의 사태에 직면하기도 했다. 

중재자로 나선 문재인 대통령의 노력으로 파국은 면했지만 도널드 트럼프 대통령과 김정은 국무위원장이 손을 맞잡을 때까지 불안감을 완전히 떨칠 수 없는 분위기로 흘러갔다.

국정연설 중인 도널드 트럼프 미 대통령

북미 정상이 8개월 만에 다시 만나기로 한 가운데 상황은 이전과 많이 달라졌다. 북미 양측이 지난 연말부터 2차 북미정상회담에 대한 군불을 지펴왔던 터라 회담 일정과 개최국 발표까지 비교적 순조로운 행보를 보이고 있다.

북미는 2차 정상회담을 앞서 실무진 차원에서 꾸준히 의견을 교환했다. 지난달 김영철 노동당 중앙위원회 부위원장이 미국을 찾았고, 이어 스웨덴으로 옮겨 남북미 3자간 협상을 통해 2차 정상회담 추진과 관련한 양측의 접점을 찾는 과정을 거쳤다.

남북경협주 '수직' 상승

남북간 경제협력 재개여부에 '남북철도', '도로산업' 관련 주식들이 다시 한번 상한가를 치고 있다. 남북철도 및 도로의 연결은 비단 남북문제에만 그치지 않고 시베리아 횡단, 중국횡단 등과 연결된다는 점에서 상징적 의미를 지니고 있었던 만큼, 관련 주식들의 기대감이 높아지는 모습이다. 

앞서 지난해 11월 김현미 국토교통부 장관은 남북철도조사 출정식에서 "남북철도조사는 한반도 경제영토를 유라시아로 확장하는 촉매제가 될 것"이라고 말한 바 있다. 

남북철도사업은 남북 양측이 지난해 11월30일부터 총 18일간의 일정으로 북측구간을 공동조사하면서 11년만에 재개됐다. 

경의선 조사는 개성~신의주 구간 400km, 동해선은 금강산~두만강 구간 800km를 진행했다. 

정부측 관계자는 "경의선 개성~신의주 구간은 지난 2007년 12월 현지조사를 실시한 바 있어 10년간의 변화를 확인할 수 있는 기회였다"며 "동해선 금강산~두만산 구간은 분단이후 우리 철도차량이 처음으로 운행한 구간이었다"고 의미를 전했다. 

그 후 양측은 같은해 12월26일 개성 판문역에서 경의선-동해선 철도도로연결 및 현대화사업 착공식을 가졌다. 남북도로사업은 지난달 31일 남북이 경의선과 동해선 도로연결 및 현대화사업 협력 관련 실무접촉을 가지면서 활기를 보였다.  

양측은 앞서 지난해 8월 경의선 개성~평양도로구간을 공동조사 결과를 공유하고 지난해말 동해선 고성~원산 100km도로 공동조사 날짜를 조율하기도 했다. 문제는 남북도로·철도사업이 진전이 있는 듯 보이면서도 유엔안보리 제재에 일일이 걸리면서 탄력이 붙지 않고 있다는 점이다.

도로사업의 경우도 경의선 공동조사후 5개월뒤에야 동해선 조사를 위한 장비 북측반출 허가를 받는 등 우보걸음을 걷고 있다. 이에따라 이번 북미정상의 2차 회동 결과가 남북철도·도로사업의 속도를 내는 분수령이 될 것으로 관계자들은 전망하고 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