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감원, 금융그룹 통합감독 제도화 열 올리기 '전모'
금감원, 금융그룹 통합감독 제도화 열 올리기 '전모'
  • 오혁진 기자
  • 승인 2018.10.1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한국증권신문 정치사회부-오혁진 기자] 금융당국이 금융그룹 압박을 지속하고 있다. 삼성생명, 현대캐피탈, 롯데카드 등 금융그룹 CEO들과 면담을 진행하면서 금융그룹 통합감독 제도화에 열을 올리고 있기 때문. 

19일 관련 업계에 따르면 금감원은 오는 30일 현성철 삼성생명 사장과 사외이사진, 삼성 주요 금융 계열사 최고리스크관리책임자(CRO)들을 만나 하반기부터 시행된 통합감독 모범규준 이행을 당부할 방침이다.

통합감독은 비금융 계열사에 부실이 발생할 경우 그 위험이 금융 계열사로 전이되는 것을 막는 게 골자다. 금감원은 지난 8월부터 7개 금융그룹을 대상으로 현장점검을 실시해 그룹별 위험관리 체계와 자본적정성, 내부거래, 지배구조 등을 살피고 있다. 

현장점검 후에는 정태영 현대카드·캐피탈 부회장, 김창권 롯데카드 사장, 김정남 DB손해보험 사장 등 각 금융그룹 대표회사 CEO, 사외이사진과 그룹 계열사 CRO 등을 면담했다.

앞선 면담에서 금감원은 롯데카드에 가맹점 수수료의 높은 계열사 의존도, 지주사 전환에 따른 롯데카드 지분 매각 이슈 등을 거론한 것으로 전해졌다. 현대캐피탈은 현대자동차에 대한 할부금융 집중에 따른 높은 계열사 의존도와 공정거래법 위반 소지, DB손보는 대주주의 과도한 주식담보대출 등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이달말 면담이 예정된 삼성생명은 새 자본적정성 기준인 '집중위험'과 관련한 삼성전자 주식 매각 문제가 핵심 사안이다. 삼성생명은 삼성전자 지분 7.92%(약 22조4000억원)를 보유했다.

금감원 관계자는 "삼성의 경우 집중위험이 가장 큰 리스크로 자본적정성이 쟁점"이라며 "통합감독으로 그룹 전체 리스크를 파악하고 위험을 줄인다는 데 의미가 있다"고 설명했다.

이에 대해 금융권은 부담을 느끼고 있다. 특히 '타깃'인 삼성은 이번 면담으로 당국의 압박이 본격화될 수도 있다는 점에서 바짝 긴장하고 있다.

금융위원회에 따르면 삼성생명의 자본적정성 비율은 현재 328.9%에서 통합감독 도입 후 110%대로 급락한다. 기준치인 100% 미만으로 떨어지면 자본을 확충하거나 삼성전자 주식을 팔아야 한다. 이는 오너 일가→삼성물산→삼성생명→삼성전자로 이어지는 삼성 지배구조에 큰 부담이다.

금감원 고위 관계자는 "통합감독 현장점검과 면담으로 각 금융그룹이 그룹 전체의 리스크를 파악하는 효과가 있을 것"이라며 "'기업 옥죄기'가 아니라 그룹 차원에서 리스크를 관리하고, 스스로 지배구조를 개선하는 방향으로 제도를 추진하겠다"고 말했다. 

한편 금감원은 현장점검과 면담 결과를 바탕으로 연말 종합적인 현황을 발표할 예정이다. 윤석헌 금감원장이 직접 금융그룹 CEO들을 만나는 방안도 검토 중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