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7 증권가 10대뉴스 ‘분석’
2017 증권가 10대뉴스 ‘분석’
  • 오혁진 기자
  • 승인 2017.12.29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국내·글로벌 증시 호황...불확실성도 많았다”

[한국증권신문-오혁진 기자] 2017년 증시 거래가 지난 28일 마무리됐다. 올해 국내 증시는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지난 6년 간 박스권을 탈피해 눈길을 끌기도 했다. 글로벌 증시도 경제 회복과 기업들의 호실적, 정책 기대감 등에 힘입어 사상 최고치 행진을 벌였다.

증권업계에서는 초대형 투자은행(IB)이 첫 걸음을 뗐다. 국내 증시의 가치 개선을 위해 기업지배구조 공시제가 도입되기도 했다.

그러나 대내외 불확실성도 많았다. 증권업계 전문가들은 중국의 사드 경제 보복, 코스닥 대형주의 코스피 이전 상장 봇물, 한국거래소 인사 논란 등을 2017년 증권업계 10대 뉴스로 꼽았다.

코스피, 연일 ‘사상 최고치’...IT업종 강세 보여

지난 2011년 5월 2일 2228.96포인트 이후 6년간 2000~2200포인트 사이에서 횡보하던 코스피는 올해 5월 4일 2241.24포인트를 기록했다. 약 7년 만에 박스권을 탈피한 것이다. 코스피지수는 올해 21.8% 올라 지난 2009년(49.7%) 이후 8년 만에 최대 상승폭을 기록했다.

특히 반도체 등 전기전자(IT) 업종의 강세가 눈에 띄었다. 올 한해 삼성전자(2537000원 상승69000 +2.80%), SK하이닉스(76500원 상승1400 +1.86%)등 IT 대형주가 속한 코스피 전기전자 업종은 45.4% 상승했다.

코스피지수는 10월 30일 사상 최초로 종가 2501.93포인트를 기록했다. 11월3일 2557.97로 장중 최고치를 경신했다. 최근에는 2400대에 머물며 등락을 이어가고 있다. IT 종목의 고점 논란과 업황 위축에 대한 우려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2017년 마지막 거래일인 지난 28일에는 1.26%(30.82포인트) 오른 2467.49를 기록했다.

코스닥, 박스권 탈피·바이오주 급등 ‘주역’

코스닥지수도 박스권을 탈피했다. 지난 2007년 11월 6일 800.92포인트를 기록한 뒤 약 10년간 800선을 회복하지 못했던 코스닥지수는 올해 11월 24일 장중 803.74포인트를 기록하면서 상승 분위기가 조성됐다. 올해 코스닥지수는 26.4% 급등했다.

증권업계 한 전문가는 “연초부터 지속된 바이오주 상승과 코스닥 상장기업의 실적개선, 정부의 코스닥 활성화 정책에 대한 기대감 등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것”이라고 분석했다.

이같은 분위기에 코스닥 시장의 하루 평균 거래대금도 신기록을 세웠다. 지난 11월 21일 코스닥시장 거래대금은 10조323억원으로 4거래일 전인 11월 15일(9조8842억원) 이후 사상 최대치를 재차 경신했다.

코스닥지수의 급등세를 이끈 주역은 바이오주였다. 코스닥 시장은 시총 기준으로 3분의 1이 제약·바이오, 3분의 1이 전기전자(IT) 구성돼있다. 특히 시가총액 상위 10개 종목 중 6개가 제약·바이오인 만큼 이들의 급등은 지수의 상승을 이끌었다.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올해 바이오 종목이 속한 기타업종과 제약업종이 각각 68.16%, 59.33% 급등해 코스닥 업종수익률 1, 2위를 차지했다.

전문가들은 바이오시밀러 제품과 신약에 대한 임상개발이 활발해지고 정부의 장려정책이 뒷받침됨에 따라 바이오산업 관련 기업들의 주가가 상승세를 탔다고 분석했다.

코스닥 대장주들 코스피로....

코스닥 대장주들이 코스피로 이사를 가는 상황도 있었다. 코스닥 시가총액 2위였던 카카오를 시작으로 시총 1위 종목인 셀트리온의 이전 상장도 확정된 상태다.

카카오는 지난 7월 10일 코스피로 이전 상장했다. 카카오는 코스닥 시장에서 자금을 조달해 IT벤처에서 대기업으로 성장했다.

셀트리온도 지난 9얼 29일 임시 주총을 통해 내년 코스피 이전상장을 확정지었다. 이르면 내년 2월 이전될 것으로 예상되고 있다.

지난해에도 동서와 한국토지신탁이 코스피로 이전했다. 이같은 코스닥 대형주의 시장 이탈은 코스닥 시장의 정체성에 대한 위기감을 확대시켰다. 한국거래소는 이에 대한 대책 마련을 위해 태스크포스(TF)팀을 가동한 상태다.

글로벌 증시, 국내 증시에 호재 가져다줘

글로벌 증시의 강세도 국내 증시에 호재가 됐다. 기업들의 호실적과 경제 성장이 증시 활황을 이끌었다. 올해 주요 20개국(G20) 국가 중 아르헨티나, 터키, 인도, 브라질, 미국, 한국, 일본, 남아프리카공화국, 이탈리아 등 12개국 증시가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특히 미국에서는 지난 3분기 국내총생산(GDP) 성장률이 3.3%를 기록해 3년 이내 최고치를 기록했다. 지난 10월 실업률도 4.1%로 17년 만에 최저치를 기록하는 등 실물경제가 호조를 나타내면서 투자심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지난 22일(현지시각) 트럼프 대통령은 세제개편안에 최종 서명했다. 최종 확정된 세제개편안은 현행 최고 35%인 법인세율을 21%로 낮추고, 개인소득세 최고 세율을 39.6%에서 37%로 내리는 내용을 골자로 한다. 앞으로 10년간 1조5000억달러의 감세조치가 단행될 예정이다.

최근 월스트리트저널(WSJ) 등 외신에 따르면 뉴욕증권거래소(NYSE)에서 다우존스 30 산업평균지수는 올해 들어 25% 상승했고, 종가 기준으로 70회의 사상 최고치를 경신했다. 이는 1886년 다우지수가 만들어진 뒤 가장 큰 기록이다. 이전 최다 기록은 지난 1995년의 69회다.

중국의 압박 ‘사드 보복’

지난해 7월 사드(THAAD·고고도미사일방어체계) 배치가 공식화되고 9월에는 경상북도 성주군에 사드 포대가 실제 배치됐다.

중국 당국은 이에 대한 보복 조치로 자국민의 한국 관광을 금지하고, 중국 내 진출한 국내 유통업체 운영을 막는 등의 보복을 단행했다. 중국 화장품, 엔터테인먼트, 여행 등 중국 소비 관련 종목들의 주가 하락이 이어졌다.

그러나 지난 14일 문재인 대통령과 시진핑 국가주석의 정상회담이 성사됐다. 경제교류 정상화에 대한 기대감이 커진 것이다. 중국 소비주도 회복 기미를 보이고 있다.

초대형 IB 출범

지난 2011년 7월 금융당국은 ‘초대형 투자은행(IB) 육성계획’을 발표했다. 지난달 13일, 금융위원회는 미래에셋대우와 NH투자증권·한국투자증권·삼성증권·KB증권을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초대형 IB로 최종 지정했다.

그러나 핵심 사업인 단기금융업(발행어음 업무)인가가 한국투자증권 한 곳에만 적용됐다. 발행어음은 금융회사가 영업자금 조달을 위해 자체 신용으로 융통어음을 발행해 일반투자자에게 매출하는 형식의 1년 미만 단기 금융상품이다. 정부는 은행권에 이미 허용된 이 사업 방식을 자기자본 4조원 이상 증권사에게도 허용하면서, 조달한 자금의 절반을 기업금융에 활용할 수 있도록 했다.

한국투자증권 이외에 4곳은 대주주 적격성 문제나 제재 전력, 과도한 채무보증 등으로 심사가 보류되거나 지연되고 있다.

기업지배구조 공시제 도입

올해 3월 유가증권 시장 상장사에 대한 기업지배구조 공시제가 처음으로 도입됐다.

기업지배구조 공시제는 거래소의 ‘지배구조 모범규준’ 핵심원칙에 대해 준수 여부를 자체 평가, 보고하고 그 사유 등을 투자자에게 설명하는 구조다. 다만, 자율공시에 해당하기 때문에 미이행에 따른 별도의 제재 조치는 없다.

최초 제출 시한인 지난 9월 29일까지 대기업과 금융회사 등 총 70사가 기업지배구조 공시를 제출했다.

임시 공휴일 지정...증시 10일간 휴장

올해 추석 명절과 한글날 등의 연휴가 겹치면서 증시도 지난 9월 30일부터 10월 9일까지 열흘 간 휴장했다. 증시가 열흘 동안 휴장한 것은 역대 세 번째이고, 1984년 12월 25일부터 1월 4일까지 열흘 동안 장이 열리지 않았던 이후 32년 만이다.

한국거래소는 “긴 연휴 연휴 기간 소득재분배와 내수진작 등이 증시의 단기성 호재로 작용해 연휴 직후 증시가 상승세를 탔다”고 분석했다. 휴장 직전일인 9월 29일 2394.47을 기록했던 코스피 종가는 10월 10일 39.34포인트 오른 2433.81로 1.6% 상승했다. 같은 기간 코스닥도 1.77포인트(0.27%) 올랐다.

한국거래소 신임 이사장 공모 논란

한국거래소의 새 수장을 꼽는 과정에서 낙하산 논란이 빚어지기도 했다. 거래소는 지난 8월 말 진행 중이던 공모 절차를 중단하고, 돌연 추가 공모를 실시했다.

한국거래소는 2015년 공공기관 지정이 해제됐지만 증권사, 금융투자협회 등이 참석하는 주주총회에서 선출한 뒤 금융위원장의 제청으로 대통령이 임명한다.

이같은 상황에서 업계에서는 추가 공모가 거래소의 자체 결정이 아니라 금융 당국 등 외부 개입에 의한 것일 가능성이 높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유력 후보였던 김광수 전 금융정보분석원장, 이철환 전 거래소 시장감시본부장, 김성진 전 조달청장 등이 이사장 지원을 포기하자 내정자가 있다는 설도 돌았다.

현재 거래소 이사장은 2차 공모에 지원한 정지원 전 한국증권금융 사장이 맡고 있다.

주식 거래 양도소득세 대주주 기준 강화

앞서 정부는 지난 8월 세법 개정안을 통해 양도소득세 대상 대주주 범위를 종목당 1% 이상, 보유 주식 15억원 이상으로 확대했다.

그런데 특정 종목의 주식 15억원 이상을 보유했는지 여부를 평가하는 기준은 12월 결산법인 기준 12월말 시점 시가총액이다. 전문가들은 특정 종목을 15억원 이상을 보유하고 있는 개인 투자자들이 대주주 양도소득세를 피하기 위해 대규모 순매도를 기록할 수 있다고 예상했다.

실제 지난 26일 개인은 유가증권 시장에서 8944억원, 코스닥시장에서 6134억원을 순매도해 각각 1년, 2년 만에 최대 규모를 기록했다. 다만, 이후 27~28일 개인은 다시 순매수로 돌아와 올해 마지막 증시 거래를 마쳤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