문재인 시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급물살
문재인 시대,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급물살
  • 백서원 기자
  • 승인 2017.05.25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스튜어드십 코드 1호 투자자는 사모펀드 JKL파트너스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을 공약으로 내건 문재인 정부 출범 이후 기관별 도입 논의가 급물살을 탔다.

우선 스튜어드십 코드가 국내에 도입된 지 5개월 만에 처음으로 공식 참여를 결정한 기관투자가가 나왔다. 24일 한국기업지배구조원(CGS)에 따르면 사모펀드(PEF) 운용사인 JKL파트너스가 스튜어드십 코드에 참여하기로 했다. 이밖에도 기관투자가들이 참여 예정 계획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정부·투자자들 발빠른 움직임

 

JKL파트너스는 이날 자사 홈페이지에 한국지배구조원의 기관투자자의 수탁자 책임에 관한 원칙을 바탕으로 총 7개 원칙에 대해 JKL파트너스의 수탁자 책임 이행 정책을 담은 ‘JKL파트너스의 스튜어드십 코드를 마련해 24일부터 시행한다고 공지했다.

세부적으로는 의결권·주주권 행사는 물론 투자 대상 회사의 경영에 적극적으로 참여하기로 했다. 또 대상 회사의 지속가능한 성장과 장기 가치 상승을 목표로 스튜어드십 코드 정책을 투자·사후관리·회수를 포함한 전 과정의 의사결정에 반영한다는 방침이다. 이와 함께 투자 대상 회사 점검시 정량적·재무적 사항뿐만 아니라 지배구조, 환경과 사회에 대한 영향, 회사의 지속 가능성 등을 포괄적으로 검토해 사회적 책임도 함께 고려하겠다고 설명했다.

스튜어드십 코드는 연기금과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가들이 주주권을 적극적으로 행사, 기업의 의사결정에 참여토록 하는 의결권 지침이다. 집안일을 맡은 집사(스튜어드·steward)처럼 맡은 고객 자산을 꼼꼼히 관리해야 한다는 뜻이다.

그간 기관투자가들이 투자 기업에 대한 의결권을 소극적으로 행사해 고객 이익이 극대화되지 못하고 기업 성장 역시 견인하지 못하고 있다는 지적에 잇따르면서 도입 필요성이 제기됐다.

이에 따라 국내에서는 작년 12월 중순, 한국기업지배구조원을 통해 기본 7개 원칙을 공포하고 시행에 들어갔다. 그러나 5% 이상 지분 보유자의 공시의무 적용 수위 등 쟁점 때문에 그동안 도입 기관이 한 곳도 없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스튜어드십 코드의 실효성을 높이겠다고 공약한 문재인 대통령이 당선되자 기관투자가들의 도입 행보가 탄력을 받았다. 문재인 대통령은 대선 전날인 지난 8일 국회에서 비상경제대책단 회의를 열고 스튜어드십 코드 시행 등을 담은 자본시장 육성과 중산·서민층 재산 형성 지원 방안을 발표한 바 있다.

 

기관 23곳 참여 예정

 

1호 투자자가 JKL파트너스는 20017월 설립된 토종 사모펀드로 정장근 대표가 이끌고 있다. 2014년 하림그룹과 컨소시엄을 구성해 해운업체인 팬오션 인수를 이끌어낸 곳이다. 최근에는 두올, 하이브론, 까스텔바쟉 등에 투자했다.

기업지배구조원은 이밖에도 23개 기관투자가들이 참여 예정 계획서를 제출했다고 밝혔다. 주요 기관 중에서는 미래에셋자산운용이 오는 11, IBK투자증권이 내년 1분기 도입 예정이다. 미래에셋운용의 경우 5월 말 실무 해설서가 나오면 검토 후 곧바로 도입을 추진할 예정인 것으로 알려졌다.

국내 최대 기관투자자인 국민연금도 최근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 방안에 대한 연구용역을 발주하며 준비 작업에 착수했다.

기업지배구조원은 스튜어드십 코드 1호 참여자가 나온 것을 계기로 향후 PEF 외에도 대형 자산운용사 등 기관투자자들의 스튜어드십 코드 도입이 활발해질 것으로 기대한다고 전했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