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권력과 돈 다 욕심내면 반드시 패가망신 한다”
“권력과 돈 다 욕심내면 반드시 패가망신 한다”
  • 김길홍 회장
  • 승인 2015.05.27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경남기업의 오너였던 성완종 전 회장의 죽음은 정경유착(政經癒着)의 실상을 그대로 보여주었다. 권력형 비리의 척결과 정치개혁의 실천을 대통령과 여야가 그렇게 다짐했지만 예나 지금이나 공염불에 불과했다는 것을 증명했다.

현역 도지사와 전 국무총리가 연이어 검찰에 불려나와 검은 돈을 결코 받지 않았다고 똑같이 주장했다.

돈을 주었다는 성 전 회장은 메모와 녹음만 남겨두고 자살했으니 죽은 당사자에게는 확인할 길이 없다.

주변 증인과 증거 정황만으로 금품수수를 밝혀야하는 검찰의 수사는 힘들지 않을 수 없다.

국민들 대다수는 메모에 등장한 권력실세들이 부당한 정치자금을 챙겼다고 믿고 있으니 검찰의 입장은 앞으로 더욱 난처해질 것 같다.

금품수수 의혹을 받고 있는 전현직 대통령비서실장, 친박의 전직 국무총리와 핵심 정치인들에 대한 수사는 최종발표를 보지 않더라도 사정의 주역인 검찰은 여론과 언론의 비판과 질타를 피할 수가 없어 보인다.

국회의원까지 지낸 성 전 회장이 그 큰돈을 왜 권력실세 정치인들에게 선뜻 건넸다고 하는 이유와 동기는 무엇일까? 많은 사람들이 궁금해 할 것이다.

장사하는 기업인이 자의든 타이든 정치인에게 돈을 주는 것은 특정의 조건없이 잘 봐달라는 보험가입 성격의 경우가 많다.

이때 전달되는 돈의 액수는 정치인이 어느정도 정계와 관계에 영향력을 행사하는 힘의 강약에 따라 정해는 것이 상식이다.

전형적 장사꾼은 보험금의 성격도 있지만 언젠가 청탁을 할 수 있다는 자신만 알고있는 인연과 거래라고 여길 수도 있다.

정치인과 기업인의 정치자금 수수는 그것이 합법이든 불법이든 엄격하게 따지면 순수한 후원의 의사보다 다른 속내를 감추고 있다고 보는 것이 사회통념상 타당하다고 여겨진다.

자수성가한 기업인 출신의 성완종 전 회장이 권력실세 8인에게 줬다고 폭로한 자금의 규모가 15억원이다. 보통 정치인과 정당으로 봐서도 결코 적은 액수의 돈은 아니다.

19대 국회의원이었으나 선거법 위반 형확정으로 2014년 의원직을 상실했던 성 전 회장은 살아온 과거를 살펴보면 정치인 보다는 기업인이라고 해야 할 것 같다.

경남기업의 대주주였던 그가 기업인과 국회의원으로서 육성녹음과 자필 메모로 남긴 것처럼 대통령의 핵심측근들에게 억 단위의 자금을 줬다고 했다.

또 여야를 넘나들면서 유명 정치인은 물론 자기사업과 관련 있는 은행 및 공직자들을 접촉했다.

경남기업의 경영이 어려워 워크아웃이 실시되는 사업위기를 해결하기위해 정관계의 협력과 지원을 요청하려는 것이라고 모두 그렇게 믿고 있다.

기업하는 사람이 정치하지 말라는 법은 없다. 정치인과 기업인은 각각 지켜야하는 기업윤리와 공직윤리가 있다.

기업인이 정치인이 되어서 자기사업의 확장과 기업보호를 위하여 자기가 갖고 있는 직위와 권력을 동원한다면 그것은 실정법 저촉여부를 떠나 정치도의에도 어긋나고 공직자의 청렴의 의무를 저버리는 것이다.

아직 성완종 리스트의 파문과 경남기업의 자원 비리 수사가 끝나지 않았다. 현재까지 드러난 내용을 보면 성완종 씨가 국회의원으로 재직할 당시 직위를 이용하여 경남기업의 지원을 당국이나 은행에 부탁한 것으로 의심받는 정황이 없지 않다.

성완종 전 회장이 생전에 해외자원 개발비리에 대한 검찰과 감사원의 경남기업 수사 및 감사는 억울하다고 강변했다.

하지만 그는 경남기업 오너인 자신이 제척사유가 되는 국회정무위의 질의에서 경남기업의 지원을 부탁하는 듯한 발언을 한 부분들을 발견할 수 있다.

우리는 국내굴지의 재벌총수가 대통령에 출마했고 그 아들이 대통령 후보 경선에 나선 다소 엉뚱한 경험을 했지만 모두가 실패했다.

동양의 전통 유교사회에서 선현들의 가르침이 다시금 생각난다. 권력과 돈을 둘다 가지려고 욕심을 부린다면 반드시 패가망신(敗家亡身)하는 불행이 닥칠 것이라고 경계했다.

정치인은 공직자로서 청렴의 의무를 준수하면서 국가권력을 공정하게 행사하고 기업인은 사업보국(事業報國)으로서 국가발전에 기여하는 것이 본분과 정도이다.

그렇지만 정부의 고위공직자와 유명 정치인이 권력형 부정과 비리를 저질러 신문, 방송의 머릿기사를 장식하면서 검찰청과 법원을 드나드는 수치스런 사진과 화면을 수없이 지켜 보았다.

성완종 리스트 파문의 수사가 계속되고 자원비리, 기업비자금, 공직부패 등을 겨냥한 전방위 사정 바람이 불어 닥치고 있다. 검찰의 포토라인에 서서 포즈를 취하는 공직자, 기업인, 정치인을 앞으로 얼마나 더 많이 봐야할까?

언론 보도를 보면 대기업과 중소기업 사장출신의 국회의원이 많다는 소식이다. 재산을 등록한 행정부와 사법부의 고위공직자중 수백억 자산가도 있다.

주식을 보유한 기업인 출신 국회의원은 본인과 가족소유의 주식을 백지신탁하거나 처분해야하는 공직자윤리법의 규정을 지키지 않고 있는 실정이다.

“선비는 오이밭에서 신발끈을 매거나 오얏나무 아래서 갓끈을 고쳐 매지 않는다(瓜田겘納履굃下不整冠)”라는 속담이 전해온다.

공직윤리법을 만든 국회의원이 실정법을 지키지 않고 먼저 위반하는 파렴치한 불법행위와 비도덕적 자세를 규탄하지 않을 수 없다.

권력이든 기업이든 택일해야 한다. 금배지도 달고 몇 년사이 회사이윤을 15배로 올리는 시정잡배같은 장사꾼 국회의원을 이제 국민들은 용납치 않을 것이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