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임금 채불은 기본...하자발생도 최고”
“임금 채불은 기본...하자발생도 최고”
  • 한국증권신문 기자
  • 승인 2014.10.20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서희건설(이봉관 회장)이 최악이다. 부실시공에서 부터 하청업체 등치기까지 최악이다. 서희건설은 지난 7일 국정감사에서 하자발생 1위에 뽑혔다. 총 3,825건이다. 건설사로서 최대 망신살이다. 여기다 건설업체 가운데 공정거래위원회로부터 제재를 받는 등 하도급대금 채불 단골이라는 불명예도 안고 있다. 교회건설을 통해 성장해 온 서희건설이 온갖 불명예를 안으면서 최악의 건설사로 추락하고 있다. 서희건설이 안고 있는 문제점을 알아본다.

한국토지주택공사(LH)가 준공한 아파트의 하자가 심각하다. 건설사의 부실시공이 원인이다. 최악의 건설사로 서희건설이 뽑혔다.

7일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김윤덕 의원(새정치민주연합, 전주 완산갑)이 LH로부터 제출받은 국정감사 자료에 따르면, 하자 발생이 가장 많은 시공사는 서희건설로 총 3825건이다. 이어 대우건설(2230건), 한신공영(2061건), 진흥기업(1925건), 요진건설산업(1853건), 경남기업(1795건), LIG건설(1745건), 남양건설(1664건), 롯데건설(1563건), 남해종합개발(1373건), 신동아건설(1231건), 금호산업(1206건), 대우존선해양건설(1129건), 티이씨건설(1096건),한진종합개발(1090건), 한일개발(1054건), 고려개발(1033건), 동양건설산업(1026건), 이수건설(983건), 현대건설(981건), 한화건설(965건), 대보건설(921건), SK건설(900건)순이다.

1위를 차지한 서희건설은 김포마송9BL, 남춘천퇴계2, 대구신천5, 대구칠성1, 서울서초A2, 수원호매실B-6, 아산인주, 양산금산, 영천망정5, 오산세교B-4,울산방어A, 인천향촌1,2,3공구, 전주효자8, 정관3(A-25BL), 진천벽암 등에서 발생했다.

김윤덕의원은 “아파트 하자에 대한 보수비용은 건설사에서 부담한다. 하지만, 불편은 LH아파트 입주민들이 감수해야 한다”며 “LH는 철저한 관리감독으로 부실시공을 방지하고 해야 한다. 하자발생시 신속히 처리해 입주민들이 불편함이 없도록 해야 한다”고 밝혔다. 

실제 LH공사가 지은 아파트  5채당 1채 꼴로 하자가 발생했다. 최근 5년간 하자발생 건수가 총 65,587건에 달했다.

이는 아파트 100채당 하자발생건수는 2009년 11채에서 2013년 31채로 급증한 것으로 나타났다.

하자발생 건수는 2009년 80,066호에서 8,930건으로 100채당 11채였으나, 2013년에는 39,611호에서 12,225건으로 100채당 31채로 급증했다. 올해에도 8월까지 27,371호에서 8,871건의 하자가 발생해 최근 5년간 총 65,587건에 달했다.

지역별로는 경기 18,573건, 서울 15,314건, 인천 7,970건 순으로 하자발생이 많았다.

특히 국민임대보다 공공분양ㆍ공공임대가 하자발생이 빈번한 것으로 나타났다.

국민임대는 21만 4,315세대 중 24,953건의 하자가 발생해 100채당 12채 꼴인데 반해, 공공분양ㆍ공공임대는 13만 4,692세대 중 4만634건이 발생해 100채당 30채꼴로 하자발생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LH건설이 서희건설에 시공을 맡긴데 대한 의혹이 여러차례 제기된바 있다.

2012년 국정감사에서 서희건설은 하도급업체에 임급체불을 가장 많은 기업으로 지적받은바 있다.
당시 국정감사에서 LH가 발주한 건설현장에서 서희건설이 2009년부터 2012년 8월까지 총 75건에 19억676만원을 체불했다. ‘임금체불’이 가장 많은 업체로 선정되는 불명예를 안았다.

이 뿐만 아니다. 서희건설은 공정거래위원회의 조사결과 LH 공사와 관련해 입찰 담합하고 하도급대금을 지급하지 않은 등 여러 법규 등을 위반한 사실이 드러나 거액의 과징금을 부과 받은 전력이 있다.

2011년 공정위는 서희건설이 하도급업체에 하도급대금과 어음할인료, 지연이자를 법정기일 안에 지급하지 않은 행위에 대해 과징금 13억300만원을 부과한바 있다.

이처럼 서희건설은 LH 발주공사 수급업체 중 임금체불이 가장 많고 불공정 행위로 여러차례 공정위로 제재를 받아 일명 ‘악덕기업’으로 까지 불리고 있다.

이런 상황에서 하자발생이 가장 많은 건설사로까지 뽑히면서 최악에 상황에 도달하고 있다. 이런 회사가 LH공사의 공사를 거의 싹쓸이하다 시피하면서 온갖 의혹마저 제기되고 있다.한편, 서희건설은 지난 2013년부터 시작된 악재로 경영상태도 나빠졌다.

국세청 세무조사로 인한 세금폭탄을 맞았다. 140억원의 세금폭탄으로 재무건전성에 빨간 불이 켜졌다. 가뜩이나 건설경기 침체로 형편이 좋지 않은 상황에서 세금폭탄은 그야말로 ‘직격탄’이 됐다.

결국 지난연말 서희건설의 무보증회사채 신용등급(장기신용등급)을 BB+(안정적)에서 BB(안정적)으로 하향조정했다. 투자부적격 등급이다. 지난 4월에는 ‘관급공사 입찰제한’이라는 날벼락까지 떨어졌다. 지난 5월 2일부터 11월 1일까지 6개월간 관급공사 입찰에 참여할 수 없다.

이는 인천도시철도 2호선 입찰 과정에서 담합을 한 데 따른 조치다. 서희건설은 해당 사업의 입찰 과정에서 다른 대형건설사들이 공사를 수주할 수 있도록 소위 ‘들러리’를 섰다가 덜미를 잡힌 것으로  알려진다.

서희건설은 지난해부터 시작된 악재의 구름이 언제 걷힐 것인가를 숨죽이며 지켜보고 있다. 시스템을 바꾸지 않은 한 악재는 계속될 것 이란게 업계의 소리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