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하성펀드 다음 타깃은 어디?
장하성펀드 다음 타깃은 어디?
  • 이상준 기자
  • 승인 2006.11.12
  • 댓글 0
이 기사를 공유합니다

투자기업 연내 공개…상승랠리 도화선
투자했다는 소문만으로도 주가 들썩 “루머 주가 급등은 잘못, ‘펀더멘탈’이 중요” 이른바 장하성펀드는 이제 주식시장에서 하나의 테마가 됐다. 장하성펀드로 불리는 한국기업지배구조펀드(KCGF)가 투자했다는 소문만으로도 주가가 들썩거리고 있다. 장하성펀드가 ‘재채기’만 해도 주식시장에 태풍이 부는 상황이다. 증시에선 이미 벽산건설에 한 차례 풍랑이 지나갔고 최근에는 대한제강이 영향권에 들었다. 장하성펀드의 행보를 하나하나 짚어보면 공통적인 특성이 있다. 장하성펀드는 대한화섬과 태광산업 외에도 10개 기업의 지분을 취득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장하성 교수가 지난달 한국상장사협의회 조찬강연회에서 향후 투자 규모를 더 늘리고 일반인 투자도 유치하겠다는 계획을 밝히자 대상 기업이 어디일까하는 궁금증이 점점 커져가는 상황이다. 굿모닝신한증권은 11월 펀드보고서를 통해 장하성펀드는 기업구조조정을 통해 수익을 노리는 SRI(사회책임투자)펀드라기보다는 헤지펀드에 가깝다는 의견을 내 놓았다. ▲지분율 5% 미만으로 10개 기업 지분 취득 증권가에서는 장하성펀드가 이미 10개 기업의 지분을 매입해 놓았고, 지분율은 5%에 채 못 미치는 수준이라는 이야기가 돌고 있다. 금감원이 이미 거래소에서의 움직임을 감지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지만 보안상의 이유로 외부인이 알 수는 없는 상황이다. 피투자 기업에 대한 지분율이 5% 미만인 이유는 5%가 넘을 경우 공시를 해야 하는 의무가 생기기 때문이다. 장하성펀드 입장에서 준비가 다 되지 않은 상황에서 외부에 알려질 경우 주가급등과 스포트라이트를 받는다는 부담감 때문에 아직 공개하지 않은 것으로 보인다. 때문에 ‘각 기업들의 지분을 4.99%까지 사놓았다’는 설은 꽤 설득력 있게 들린다. 그러나 “몇몇 기업에 대해서는 이미 지배구조 개선 작업이 진행중이다”라고 밝히고 있어 구체적인 행동에 돌입했음을 시사하고 있다. 대한화섬의 경우를 볼 때, 5%를 넘지 않은 상태에서도 지배구조 개선과 주주가치 재고를 요구하는 ‘레터’를 소액주주의 자격으로 계속 보내며 해당 회사와 커뮤니케이션을 했었다. 장하성 교수는 최근 “몇 개 기업에 투자해 경영진, 대주주와 접촉하고 있다”고 밝혔다. 이런 소문과 더불어 몇몇 종목은 벌써부터 장하성펀드의 수혜주로 찍혀 주가가 들썩이기도 했다. 장하성펀드 운용책임자인 존 리(한국명 이정복)는 이에 대해 ‘투자를 했는지 안 했는지 말해줄 수 있는 입장이 아니다. 그런 루머 때문에 주가가 급등하는 현상은 잘못된 것으로 중요한 것은 기업의 펀더멘탈’이라는 원론적인 입장을 밝힐 뿐이었다. ▲배당 소극·자금력 있고 시가총액 낮은 기업 중견그룹들 가운데 배당에 소극적이고, 자금력이 있고, 보유자산 대비 시가총액이 낮아 지분매입이 용이한 기업들이 주목받고 있다. 장하성펀드 루머로 주가에 영향을 받은 기업은 벽산건설과 대한제강, 한진해운, 한신공영, 한진, 조선내화, 동화약품 등이다. 이들은 주당순자산비율(PBR)이 1이 되지 않아 전체 자산가치보다 시가총액이 작은 기업들이다. 그러나 장하성펀드 투자가 알려지기 전 대한화섬의 시가총액이 929억원(6월 기준)으로 그 규모가 작아서 소액으로도 투자가 용이했던 것을 보면, 벽산건설 시가총액 5288억원(6월 기준)이나 한진해운 1조6243억원(6월 기준)은 높은 편에 속한다. 한진이 3177억원, 한신공영이 1805억원, 조선내화가 1868억원억, 동화약품이 1418억원으로 비교적 낮은 편이다. 이들 기업 모두가 장하성펀드 유입에 대해서는 사실무근이라고 밝히고 있다. 장하성펀드가 굳이 투자한 회사를 밝혀야 할 필요가 있다면 지배구조 개선이라는 여론을 환기시키는 데 도움이 될 정도로 인지도가 높은 기업이 적당하다. 지금까지 장하성펀드의 타깃으로 거론된 기업들 가운데 대기업 계열사로 금호산업, 한화석화, 대한전선, 현대상선, 삼양사 등이 있다. 그러나 이들은 시가총액이 4000억원을 넘는다. ▲인지도가 있으면서 자산가치가 높은 회사 시가총액이 작은 기업들 중 인지도가 있으면서 자산가치가 높은 회사를 보면 한국공항, 대상홀딩스, 풀무원이 있다. 한국공항은 전국 공항마다 토지 및 공장을 보유해 부동산이 204억, 당좌자산이 1119억원으로 PBR이 0.5에도 못 미친다. 대주주 지분율은 58.9%로, 한국공항은 대한항공 지배구조의 핵심 고리 역할을 하는 회사로 주목받고 있는 곳이다. 시가총액이 734억원으로 적은 금액으로 효과를 볼 수 있는 상황이다. 대상홀딩스는 지주회사로 부동산은 없지만 계열사 지분이 있다. 시가총액 1771억원으로 PBR은 0.5∼0.7이다. 풀무원은 시가총액 1553억원, PBR이 1.4로 자산가치를 인정받고 있는 편이다. 장하성 교수는 한 강연회에서 “태광산업과 대한화섬의 투자 사례를 통해 자산주가 부각되고 있지만 반드시 자산을 보유하고 있지 않아도 되며 중기업들 중에서 현금흐름이 우수한 기업들에 주목하고 있다”고 말했다. 피투자 기업의 중요 판단 근거로 굳이 자산가치를 고집하지는 않겠다는 뜻이다. 오히려 향후 수익성이 크게 개선될 기업인 ‘성장주’에 중요성을 둔다는 것으로, 기업지배구조 개선이라는 소기의 목적을 달성함과 동시에 펀드로서의 안정적인 수익률을 제고하겠다는 뜻으로 해석된다. 장하성 교수는 연내 투자기업을 공개하겠다고 말했다. 장하성펀드로 또다시 증시가 들썩이면서 연말 상승랠리에 불을 지피는 도화선이 될지도 모르는 일이다. 업계의 관심이 장하성펀드에 모아지는 또 하나의 이유다.

댓글삭제
삭제한 댓글은 다시 복구할 수 없습니다.
그래도 삭제하시겠습니까?
댓글 0
댓글쓰기
계정을 선택하시면 로그인·계정인증을 통해
댓글을 남기실 수 있습니다.